해외 미술/서양 미술사
“의사와 가깝게 지냈던 클림트, ‘키스’ 곳곳에 생명의 고귀함 담아”
주해
2022. 12. 14. 01:16
2021-11-25 08:08:20
https://www.chosun.com/culture-life/health/2021/11/25/HBNHYKRO3NDSDDJLY77WTFFAJI/
“의사와 가깝게 지냈던 클림트, ‘키스’ 곳곳에 생명의 고귀함 담아”
의사와 가깝게 지냈던 클림트, 키스 곳곳에 생명의 고귀함 담아 메디 피플 해부학회 유임주 이사장 연인 옷에 그린 정자와 난자 수정된 순간, 초기 배아 형태까지 세포 모양 형상화해 그려 넣은
www.chosun.com
“연인 옷에 그린 정자와 난자
수정된 순간, 초기 배아 형태까지
세포 모양 형상화해 그려 넣은 듯”
/자료=미국의사협회지, 유임주 고려대 의대 해부학 교수
오스트리아 화가 구스타프 클림트가 1908년 선보인 그림 키스(kiss). 꽃 침대 위의 추상적인 금박 문양 속에서 서로를 껴안고 있는 연인을 묘사한 이 그림은 사랑을 미학적으로 절묘하게 표현했기에 한국인에게도 인기가 많은 예술품이다. 그런데 이 작품 곳곳에 수정란, 배반포 등 인간 배아 발생학 세포 표본들이 배치돼 있음을 한국인 해부학자가 잡아냈다.
대한해부학회 유임주(고려대의대) 이사장 연구팀은 ‘구스타프 클림트의 키스, 예술과 인간 초기 발달 과정의 생물학’이라는 주제의 논문을 최근 미국의사협회지에 발표했다. 미의사협회지는 의학 분야 최고 권위로 평가 받는 국제 학술지다.
해부학회 유임주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