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 문화 . 시사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交戰 100명 사망… 2년만에 또 전쟁 위기
주해
2022. 12. 26. 22:42
2022-09-15 07:58:15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交戰 100명 사망… 2년만에 또 전쟁 위기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交戰 100명 사망… 2년만에 또 전쟁 위기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交戰 100명 사망 2년만에 또 전쟁 위기 광물 풍부한 지역 놓고 영토싸움 소련 연방서 독립 후 2차례 전쟁
www.chosun.com
광물 풍부한 지역 놓고 영토싸움
소련 연방서 독립 후 2차례 전쟁
아시아와 유럽의 경계인 코카서스 산맥에 위치한 전통적 앙숙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이 12일(현지 시각) 무력 충돌해 100명 가까이 숨졌다. 2년 전 전쟁으로 6600여 명이 숨진 뒤 최대 규모 충돌로 군사적 긴장이 높아지면서 당시 전쟁이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의 무력 충돌로 부상을 입은 군인들의 친척들이 지난 13일(현지시간) 아르메니아 수도 예레반의 한 군병원 밖에 모여 있다. / AFP 연합뉴스
13일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당국은 각각 입장 발표를 통해 이날 새벽 양국이 국경에서 무력 충돌했고, 아르메니아에서는 군인 최소 49명, 아제르바이잔에서는 최소 50명이 숨졌다고 밝혔다. 양국은 충돌 원인으로 서로를 탓했다. 니콜 파시냔 아르메니아 총리는 “국경 인근 마을 6곳에 아제르바이잔이 포격했고 이 도발에 대응한 것”이라고 했다. 반면 아제르바이잔 국방부는 “아르메니아가 지난 수개월간 대규모 전쟁 도발을 준비했다”며 “아르메니아군의 도발에 우리 군이 충분히 되갚아줬다. 합법적인 군사 타격 시설을 향해 대응했다”고 주장했다.
러시아는 즉각 중재에 들어가 이날 오후 양국이 휴전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러시아 발표 이후에도 아르메니아는 “공격 강도는 줄었지만 아제르바이잔이 국경에서 계속 공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제르바이잔 측은 아르메니아가 공격을 이어가고 있다고 비난했다.
두 나라는 모두 옛 소련 소속이었다. 1991년 양국이 소련 연방에서 분리 독립하면서 갈등이 폭발했다. 아르메니아는 기독교 인구가 대다수인 반면, 아제르바이잔은 95%가 무슬림이다. 두 나라는 특히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을 놓고 수십 년간 마찰을 빚고 있다. 이 지역은 아르메니아인이 다수 거주 중이지만, 영토상으로는 아제르바이잔 땅이다. 1920년대 소련이 일방적으로 이 지역이 아제르바이잔 땅이라고 결정해 버렸다. 두 나라는 1992~1994 전면전을 벌여 양국에서 3만명이 숨졌고, 2020년 벌어진 6주간 전쟁으로 6600명이 숨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