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미술/서양 미술사
요하네스 페르메이르의 '편지를 읽는 여인(1662~1663년경) / 암스테르담 국립박물관
주해
2022. 12. 12. 01:01
2021-09-04 12:05:52
https://www.chosun.com/national/weekend/2021/09/04/LYCWTGMZZJBI3NSG2LNUJ7M7MU/
[아무튼, 주말] 편지는 언어로 만든 집을 공유하는 것
아무튼, 주말 편지는 언어로 만든 집을 공유하는 것 김영민의 문장 속을 거닐다 고대 로마 문장가 키케로의 편지 당신이 잘 있으면 나도 잘 있습니다
www.chosun.com
고대 로마 문장가 키케로의 편지
“당신이 잘 있으면 나도 잘 있습니다”
요하네스 페르메이르의 '편지를 읽는 여인(1662~1663년경)'. /암스테르담 국립박물관
“당신이 잘 있으면 나도 잘 있습니다. 무엇보다 건강에 유의하기 바랍니다. 당신이 심한 열에 시달렸다는 사실을 말과 글을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카이사르의 편지에 대해 그토록 신속하게 알려주어서 고맙습니다. 필요한 일이 생기거나 상황이 진전되면 앞으로도 알려주기 바랍니다. 건강에 유의하기 바랍니다. 안녕. 6월 2일에 보내요.”
이것은 로마의 문장가 키케로가 사랑하는 아내 테렌티아에게 보낸 많은 편지 중 하나다. 첫머리에 나오는 “당신이 잘 있으면 나도 잘 있습니다(Si vales bene(est, ego) valeo·시 발레스 베네, 발레오)”라는 문장은 로마인들이 편지 쓸 때 사용한 관용적인 표현이다. 키케로는 특히 사랑하는 아내에게 편지를 보낼 때 저 문장을 사용하기 즐겼다. 로마는 망하고 키케로는 죽었지만, 저 문장은 살아남아 이렇게 오늘날까지 전한다.
언론학자 정은령은 바로 저 문장을 받아 자신의 산문집 제목으로 삼았다. 부스러지기 쉬운 삶의 경험들에 온기를 가지고 다가가고자 한 산문정신에 어울리는 제목이다. 일단 안부를 물을 수 있다는 것 자체가 따뜻하지 않은가. 아무도 없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 거기에 있다. 누군가 거기에 있기에 안부 편지를 쓸 수 있는 것이다. 편지를 쓸 수 있다는 사실 자체도 놀랍다. 타인과 소통 수단을 공유하고 있다는 말이니까. 언어로 만들어진 의미의 집을 공유하고 있다는 뜻이니까.
안부를 묻는 것은 사실을 통보하는 것보다 따뜻하다. 자기 용건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당신의 안부가 궁금해서 보내는 것이니 따뜻하다. 늘 자기에게 필요한 용건이 있을 때만 연락해 오는 이들은 얼마나 차가운가. 인간이라면 누구도 타인의 도구나 자원에 불과한 존재로 취급받고 싶지 않을 것이다.

빈첸초 포파의 '책을 읽는 어린 키케로(1480년대)'./ The Wallace Coll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