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술/천경자 작품관
천경자 1966년 춘우 148*86cm
주해
2022. 11. 8. 00:29
2017-05-12 18:49:29
작품수록처
Kumsung Publishing, Selected Works of 100 Modern Korean Painters&Sculptors – Chun Kyong−ja: 1975, pl.15.Ho−Am Art Museum, Chun KyungJa: 1995. P.9, pl.6.Sejong Books, Chun KyungJa: 1995, pl.23.Design House, Chun KyungJa, Te Song of Beautiful Life: 2007, pl.22.
작품설명
한국의 대표 여성화가인 천경자의 작품은 작가 자신의 삶과 연계하여 변모한다. 변모의 과정은 크게 전기, 중기, 후기로 구분 지을 수 있는데, 일본 유학시절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입선하며 미술계에 데뷔했던 1942년부터 1959년 개인전 전까지를 전기로, 부산 소레유 다방에서의 개인전 및 옥인동 정착 후 세계여행을 시작하는 1969년까지를 중기로, 이후 1970년 서교동 시절부터를 후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대체적으로 전기와 중기의 작품들은 작가 개인의 체험에서 비롯된 삶과 죽음, 행복과 불행에 대한 내적 갈등이 작품에 고스란히 녹아들어 있다.
전기에는 조선미술전람회에 연속으로 입선하며 화가로서의 재능을 인정받았으나 해방과 분단의 소용돌이 속에서 집안의 몰락, 혼인 실패, 아버지의 별세, 여동생과의 영원한 이별 등을 겪으며 불행했던 시대의 한恨과 자신의 운명에 대한 고뇌를 상징적으로 표현했다.해방 후 광주에서 지내다 홍익대학교 전임강사가 되어 서울에 올라와 셋방을 전전하다 마침내 옥인동에 정착하면서 3평 남짓의 제대로 된 화실을 가지게 되었는데, 작가로서 비교적 안정되고 행복한 시절을 맞이하게 됨으로써 화풍의 변모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