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 문화 . 시사
"1028명의 영정사진을 찍었다… 입은 웃어도 눈은 울고 있었다"
주해
2022. 11. 20. 11:25
2019-10-26 07:33:48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10/25/2019102501547.html
"1028명의 영정사진을 찍었다… 입은 웃어도 눈은 울고 있었다"
1028명의 영정사진을 찍었다 입은 웃어도 눈은 울고 있었다 아무튼, 주말- 이혜운 기자의 살롱 영정사진 찍는 작가 알렉스 김
www.chosun.com
"1028명의 영정사진을 찍었다… 입은 웃어도 눈은 울고 있었다"
영정사진 찍는 작가 알렉스 김
오지를 다니며 야생의 기운을 카메라에 담아온 사진작가 알렉스 김은 지난해 제주도에서 노인의 영정 사진을 찍으며 내려놓는 법을 배우게 됐다고 말했다. 그 사이 거칠던 표정이 많이 유해졌단다. 그는 “성산일출봉·현무암이 아니라 제주에서 80년 넘게 살아온 노인 1028명의 영정 사진이 ‘제주의 상징이자 얼굴’”이라고 말했다.
티베트 사람들은 아직도 사진을 찍으면 죽어서 하늘에 못 간다고 믿는다. 카메라가 영혼을 빼앗아 간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말 영혼을 담는 심정으로 찍어야 하는 사진이 있다. '영정(影幀)' 사진이다.
지난해 제주도에서 노인 1028명의 영정 사진을 찍은 사진작가가 있다. 경력 20년 알렉스 김(본명 김재현·39). 그는 전 세계 오지를 다니며 아이들 사진을 찍는다. 2012년에는 티베트에서 조장(鳥葬·시신을 들에 내놓아 새들이 먹게 하는 장례)을 지켜보던 아이의 얼굴을 찍은 사진으로 내셔널 지오그래픽 인물 부문을 수상했다. 그해 출간한 사진집이 베스트셀러가 됐던 '아이처럼 행복하라'. 파키스탄 수롱고 마을 '알렉스 초등학교' 이사장이기도 하다.
왜 제주도에서, 하필 영정 사진이었을까.
지난 11일 서울 성동구의 한 카페에서 그를 만났다. 억센 부산 사투리를 썼다.
웃는 영정 사진
그를 만나기 전 'KCTV제주방송'에서 촬영한 다큐멘터리를 봤다. 지난해 8월 제주시 한 경로당에서 노인 서른 명의 영정 사진을 찍는 장면이었다. 화면 안의 그는 조명과 삼각대 없이 무릎을 꿇고 사진을 찍고 있었다.
―어떻게 제주도에서 영정 사진을.
"아는 동생이 제주 살아요. 외국에 취직이 됐는데 집 계약 기간이 절반 남았다는 거예요. 그동안 찍은 50만컷 사진도 정리할 겸 해서 내려갔어요. 하루는 저랑 친한 소프라노 유성녀에게서 전화가 왔어요. 제주 '김만덕기념사업회'에서 영정 사진 봉사 사업을 하려는데 해보지 않겠느냐는 제안이었죠. 우리가 평소에 '나이 들면 시골에서 나는 영정 사진 찍고, 너는 트로트 부르는 봉사 하면 참 좋겠다'는 말을 하곤 했거든요. 어찌어찌하다 보니 작년 4월부터 제가 사진을 찍고 있더라고요(웃음)."
① 제주도 제주시 한 경로당에서 영정 사진을 촬영 중인 알렉스 김. / KCTV ② 파키스탄 ‘알렉스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을 찍고 있는 알렉스 김
"400명 찍었을 때 그만하려고 했어요. 그 집 계약이 끝났거든요. 이거 하는 동안 다른 사진을 못 찍어서 생활비도 없었어요. 영정 사진은 다른 일과 함께 할 수가 없어요. 하루에 몇 명을 찍든 집에 가면 기절해요. 사람의 혼(魂)을 찍는 거니까요. 그만하겠다고 했더니 줄 선 사람들이 엄청나게 밀려 있다는 거예요. 마음이 아니더라고요. 그리고 찍다 보니 알았어요. 영정 사진은 본인이 아니라 자식을 위한 사진이란 걸."
―왜 자식 위한 사진인가요?
"어머님들은 보통 한복을 입고 오세요. 그런데 한번은 제일 돈 많아 보이는 분이 양장을 입고 오셨어요. '내가 밥을 60년 해줬는데, 영감이 한복 한 벌 안 해준다'고 투덜대셔요. 그런데 옆의 아버님이 '집에 한복이 몇 벌인데'라는 거예요. 고개를 갸웃하며 촬영하는데 어머님이 목걸이를 가리키며 이거 잘 나오게 찍어달라고 해요. 아들이 중학교 수학여행 때 사다준 목걸이랍니다. 그게 한복이랑 안 어울리니까 양장을 입고 오셨는데 괜히 민망하니까 남편 핑계를 댄 거였어요. 그런데 카메라 앞의 어머니 표정이 너무 어색했어요. 제가 말했죠. '어머니, 나중에 아드님이 이 사진 계속 볼 거잖아요. 전 어머니 표정이 더 밝았으면 좋겠어요. 제가 아들이라고 생각하고 웃어주세요.' 그때부터 전 웃는 영정 사진을 찍어요."
―잘 웃어주시나요?
"아뇨. 대부분 우세요. 제가 저승사자처럼 보인대요. (사진 하나를 보여주며) 이 할머니 입은 웃고 있잖아요. 그런데 눈은 울고 있어요. 슬픈 거예요. 저희가 아무리 '장수효도사진'이라고 홍보해도 사실은 다 알죠. 그렇게 자식이 눈에 밟힌대요. 특히 잘 안 된 자식들이. 정말 표정이 달라요. 얼굴이 평화로워 보이는 사람들은 자식이 다 잘된 사람들이고."
―삶이 한번 정리가 되는 걸까요.
"한번은 무척 얌전한 할머니가 찍고 나서 갑자기 뱃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세요. 너무 흥겹게 추시니까 앉아 있던 사람들도 모두 손뼉 치고. '한판 잘 살고 간다'랄까요. 사진 찍고 바로 앉아 고스톱 치는 분도 계시고(웃음). 팔순 시어머니 따라와 화장해 주는 쉰 살 며느리도 있고. 시집살이 엄청 했는데, 사무치게 서러웠는데, 또 이렇게 어머니 마지막 사진 찍는다니까 마음이 아프대요. 남편 사십구재에 사진 찍으러 온 분도 계시고."
―힘들었던 순간은요.
"하루는 기념사업회 분이 그래요. '작가님, 저희가 한 달 전에 신청받았잖아요. 그런데 오늘 할머니 한 분이 안 오셨어요.' 이유를 물으니 그새 돌아가셨다는 거예요. 제가 원래 사진 찍고 늦게 주기로 악명 높았거든요. 그날부터 영정 사진은 찍은 당일 다 보정해서 액자회사에 보내고 잤어요. 내 게으른 1분이 그분들에겐 한 달일 수도 있으니까. 가끔 그분들도 물어요. '나 죽기 전에 받아볼 수 있는 거지?'"
한 소녀가 부모를 위하는 마음에 감동받아 오지만 다녔다. 한 청년이 남을 위하는 마음에 감동받아 파키스탄 시골 학교 이사장이 됐다. 내년에 마흔이 되는 그는 아직 월셋집에 살지만 환하게 웃는 ‘알렉스 초등학교’ 학생들을 볼 때마다 행복하다고 했다.
―촬영 때 삼각대와 조명이 없던데요.
"전 흰 막 하나만 써요. 삼각대와 조명은 평형을 맞추고 실수하지 않겠다는 준비죠. 그런데 80년 넘게 사신 분들 얼굴이 어떻게 멀쩡하겠어요? 다 틀어져 있어요. 처음에 조명을 썼더니 다들 깜짝 놀라요. 내가 이렇게 늙었느냐고. 그래서 지금은 제가 다 맞춰 찍어요. 얼굴이 틀어지신 분은 제가 고개를 돌려 찍고, 눈이 너무 작으면 위에서 찍고, 체구가 작으면 무릎 꿇고 찍고."
―1년 안 돼 1000명이니, 금방금방 찍나 봐요.
"전 마음에 들 때까지 찍어요. 한번은 제주방송에서 촬영한다고 PD·작가들이 왔어요. 그 앞에서 할머니 한 분을 찍는데 표정이 너무 어색했어요. 몇 컷 찍고 상황을 보고 있는데 할머니가 떠나세요. 다 끝난 줄 알았대요. 줄 선 사람들 보고 미안하셨던 거죠. 몇 시에 도착하셨느냐 물으니 오전 10시라고 하세요. 그때가 오후 3시였거든요. 손을 잡으니 벌벌 떨고 계세요. 80년을 사신 분이 이게 뭐라고."
―부모님 영정 사진도 찍었다면서요.
"1028명째 찍은 날 바로 부산 집에 가서 말씀드렸어요. '그래도 제가 사진 찍는 사람인데 부모님 돌아가신 빈소에서 남이 찍은 영정 사진을 보게 되면 좀 슬플 것 같습니다. 이건 저를 위한 겁니다. 전 1028명 누가 보든 안 보든 혼을 다해 찍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두 분 사진을 찍고 싶습니다.'"
―어디서 찍었나요.
"아버지가 중식 요리사입니다. 중국집 2층 손님방에 흰 천 붙여놓고 찍었어요. 두 분 다 아무 말 안 하세요. 너무 어색해하시고. 울지는 않으셨어요. 두 분 같이도 찍고. 그날 밤에 아버지가 저 부르시더니 10만원 주시더라고요. 1명당 5만원씩 사진 값 주신 거지요."
―부부 사진도 찍나요.
"제가 앞으로 찍고 싶은 게 집에 있는 노부부 사진입니다. 제일 부러운 모습이거든요. 한번은 할머니가 제게 오더니 할아버지 운전면허증을 꺼내면서 이 사진만 확대해서 찍어달라고 하세요. 할아버지가 아파서 거동이 힘들다고요. 그때 생각했어요. 백년해로한 분들, 결혼 생활 최소 50년 넘은 부부들 집에 찾아가서 찍고 싶다고."
―사진에 인생이 담기겠군요.
"굳이 묻지 않아도 보이더라고요. 한번은 앳된 얼굴의 할머니인데 손이 너무 커요. 손마디엔 흙이 잠겨 있고. 고생을 너무 많이 하신 거죠. 할아버지들은 군복이나 제복도 많이 입고 찍으세요. 그 직업에 자부심이 있으시니까."
오지학교 이사장
가족의 조장(鳥葬)을 치르던 한 티베트 아이의 웃는 듯 우는 얼굴. 죽음이 끝이 아니라 윤회의 과정이라고 믿는 표정이 담겼다. 2012년 내셔널 지오그래픽 인물 부문 수상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