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근현대 미술1679

우향 박래현(1920 ~ 1976) : 새(鳥) : ink and color on paper : 69.1×93cm : 1961 전시이력 Exhibited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Seoul), 《탄생 100주년 기념: 박래현, 삼중통역자》: 2020.9.24-2021.1.3.Art Chosun Space(Seoul), 《박래현, 사색세계》: 2022.3.4-4.23.Seoul Arts Center(Seoul), 《한국화 대가 박생광ㆍ박래현 2인전: 위대한 만남, 그대로ㆍ우향》: 2023.3.7-29.수록처 Literature『우향 박래현』((주)경미문화사, 1980), p.69.『한국의 미술가 박래현』(삼성문화재단, 1997), p.38ㆍ198, pl.38.『박래현, 삼중통역자』(국립현대미술관, 2020), p.121, pl.26.  20240123 : S :.. 2025. 2. 7.
이대원(1921 ~ 2005) : 농원 : oil on canvas : 111.5×161.5cm : 1993 수록처 Literature『이대원 Ⅱ』(시공사, 2008), p.89.작품설명 Work Description전통적인 미술 교육을 받지 않았던 이대원은 서양의 인상주의와 점묘법의 영향을 한국적 정서로 재해석하며 독창적인 조형미를 구축했다. 그는 서양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동양적 미감을 구현했으며, 산과 들, 나무와 연못 등 자연의 모습을 생동감 넘치는 색채와 독자적 화풍으로 재해석했다.출품작은 수평적이고 안정적인 구도를 보여준다. 하늘, 산, 들판이 차례로 배치되며, 화면 중앙에 자리한 두 그루의 나무는 수직적 대비를 이루어 시선을 끈다. 하얀색 나뭇잎과 원색으로 표현된 나뭇가지는 강렬한 색채 대비를 이루고, 90년대 이후 커진 붓터치는 색면을 형성해 화면에 안정감을 더한다. 이대원의 대표적인 색채인 적색,.. 2025. 2. 7.
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 - 구스타프 클림트부터 에곤 실레까지 ... 국립 중앙 박물관 [LIVE] 구스타프 클림트부터 에곤 실레까지, ‘비엔나 1900년’을 만나다!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비엔나1900 #꿈꾸는예술가들 #전시해설 2025. 2. 5.
원문자(1944 ~ : 이화여대 명예교수) : '정원'(1976) : 종이에 채색. 166×120cm : 국립현대미술관 클릭  - > 2025. 2. 5.
한국화는 色이 휘감고, 중국화는 선이 춤추네 한국화는 色이 휘감고, 중국화는 선이 춤추네  한국화는 色이 휘감고, 중국화는 선이 춤추네한국화는 色이 휘감고, 중국화는 선이 춤추네 16일까지 한중 근현대 회화 수묵별미展www.chosun.com린펑몐, '물수리와 작은 배(魚鷹小舟)'(1961). 종이에 먹, 색. 31×34.5cm. 중국미술관 소장. /국립현대미술관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열리고 있는 ‘수묵별미(水墨別美): 한중 근현대 회화’는 모처럼 수묵 예술을 만끽할 수 있는 전시다. 국립현대미술관과 중국미술관이 함께 기획한 이 전시에는 한국과 중국을 대표하는 수묵채색화 148점(한국 74점, 중국 74점)이 4개의 전시장에 펼쳐져 있다. 중국미술관은 국보에 해당하는 국가문물국 지정 1급 5점을 비롯해 2급 21점, 3급 6점을 출품했다. 김성.. 2025. 2. 5.
박래현 우향(雨鄕 : 1920~1976) : 여인과 고양이(밤과 낮) : 종이에 수묵채색 : 1959 : 204 x 105cm 국립현대 미술관 소장 (이건희 컬렉션 기증) 2025. 2. 4.
본태 박물관 ... 안도 다다오도 반한 정주영 넷째 며느리 "손때 묻은 옛물건, 날 절망서 구원" ...... 옥관문화훈장 이행자 본태박물관장 안도 다다오도 반한 정주영 넷째 며느리 “손때 묻은 옛물건, 날 절망서 구원”  안도 다다오도 반한 ‘여걸’… “손때 묻은 옛물건이 날 절망에서 구원”안도 다다오도 반한 여걸 손때 묻은 옛물건이 날 절망에서 구원 김윤덕이 만난 사람 옥관문화훈장 이행자 본태박물관장www.chosun.com제주 서귀포시 안덕면에 자리한 본태박물관에서 만난 이행자 고문. 거침없는 여장부인 그는 옛가구와 규방용품이 가득한 제1전시관을 가장 자랑스러워했다. 이 고문 뒤로 보이는 작품은 이스라엘 작가 데이비드 걸스타인의 '유포리아'. /신현종 기자건축가 안도 다다오와 이행자는 오랜 친구 사이다. 제주 서귀포에 본태박물관을 세울 때 건축주와 설계자로 만난 두 사람은 ‘일 중독’인 서로를 한눈에 알아보고 의기투합했다. 안도는 불도저처.. 2025. 2. 3.
훔쳐온 쓰시마 불상, 13년 만에 일본에 돌려준다 .... 쓰시마 불상, 오늘 간논지에 소유권 인도 ....서산 부석사서 100일간 일반 공개 후 5월 중 일본으로 실물 이송할 예정 훔쳐온 쓰시마 불상, 13년 만에 일본에 돌려준다 훔쳐온 쓰시마 불상, 13년 만에 일본에 돌려준다훔쳐온 쓰시마 불상, 13년 만에 일본에 돌려준다 쓰시마 불상, 오늘 간논지에 소유권 인도 서산 부석사서 100일간 일반 공개 후 5월 중 일본으로 실물 이송할 예정www.chosun.com2012년 국내 절도단이 일본 쓰시마 간논지에서 훔쳐온 고려시대 금동관음보살좌상(오른쪽). 높이 50.5cm. 24일 간논지에 소유권을 인도하고 서산 부석사로 옮겨 100일간 일반에 공개한 후 5월 중 일본에 이송할 예정이다. 당시 절도단이 훔쳐온 또다른 불상인 동조여래입상(왼쪽)은 2015년 7월 가이진 신사로 돌려줬다. /신현종 기자2012년 국내 절도단이 일본 쓰시마섬의 사찰 간논지(觀音寺)에서 훔쳐 국내로 밀반입한.. 2025. 1. 24.
박래현 우향(雨鄕 : 1920~1976 : 작품 : 종이에 수묵채색 : 121 X 105cm : 1960 20240123 : S : 추정 60,000,000 ~ 120,000,000 : HP : 유찰20250122 : K : 추정 28,000,000 ~ 100,000,000 : HP : 39,000,000 2025. 1. 22.
박래현 우향(雨鄕 : 1920~1976) : 불안 : 종이에 수묵채색 : 120 x 104cm : 1962 20240123 : S : 추정 60,000,000 ~ 120,000,000  :HP : 유찰20250122 : K : 추정 28,000,000 ~ 100,000,000 : HP : 31,000,000 2025. 1. 22.
르누아르·고흐·고갱… 메트 회화 한국 처음 온다 '인상주의' '조선 전기 미술' 展 등국립중앙박물관 올해 주요 전시 르누아르·고흐·고갱… 메트 회화 한국 처음 온다 르누아르·고흐·고갱… 메트 회화 한국 처음 온다르누아르·고흐·고갱 메트 회화 한국 처음 온다 인상주의 조선 전기 미술 展 등 국립중앙박물관 올해 주요 전시www.chosun.com폴 고갱의 ‘목욕하는 타히티 여인’(1892). 11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막하는 ‘인상주의: 메트로폴리탄박물관 소장 로버트 리먼 수집품’ 특별전에서 볼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박물관이 소장한 인상주의 회화가 처음으로 한국에 온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오는 11월 메트로폴리탄박물관 소장 ‘로버트 리먼 수집품’을 아시아 최초로 공개한다고 20일 밝혔다. 올해 광복 80주년이자 국립박물관 80주년을 맞아 이순신 장군을 조명하는 특별전이 11월 개막하고, 용산 개관 .. 2025. 1. 21.
겸재 정선, 루이스 부르주아, 이불... 올해 '블록버스터 전시' 이어진다 .... 2025 국공립, 사립 미술관 주요 전시 국내외 유명 작가들 개인전 잇따라 겸재 정선, 루이스 부르주아, 이불... 올해 ‘블록버스터 전시’ 이어진다  겸재 정선, 루이스 부르주아, 이불... 올해 ‘블록버스터 전시’ 이어진다겸재 정선, 루이스 부르주아, 이불... 올해 블록버스터 전시 이어진다 2025 국공립, 사립 미술관 주요 전시 국내외 유명 작가들 개인전 잇따라www.chosun.com국립현대미술관 상설전이 5년 만에 부활한다. 한국미술 대표작을 서울과 과천에서 상시적으로 관람할 수 있게 됐다. 사진은 서울관 상설전에서 5월부터 만날 수 있는 문경원·전준호의 비디오 작품 ‘뉴스프럼노웨어’(2011~2012). /국립현대미술관2025년 상반기 미술계는 고미술을 전면에 내세웠다. 호암미술관이 조선 후기 진경 산수화의 대가 겸재 정선의 특별전을 열고, 아모레퍼시픽미술관은 조선.. 2025.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