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록처 Literature
『이대원 Ⅱ』(시공사, 2008), p.89.
작품설명 Work Description
전통적인 미술 교육을 받지 않았던 이대원은 서양의 인상주의와 점묘법의 영향을 한국적 정서로 재해석하며 독창적인 조형미를 구축했다. 그는 서양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동양적 미감을 구현했으며, 산과 들, 나무와 연못 등 자연의 모습을 생동감 넘치는 색채와 독자적 화풍으로 재해석했다.
출품작은 수평적이고 안정적인 구도를 보여준다. 하늘, 산, 들판이 차례로 배치되며, 화면 중앙에 자리한 두 그루의 나무는 수직적 대비를 이루어 시선을 끈다. 하얀색 나뭇잎과 원색으로 표현된 나뭇가지는 강렬한 색채 대비를 이루고, 90년대 이후 커진 붓터치는 색면을 형성해 화면에 안정감을 더한다. 이대원의 대표적인 색채인 적색, 황색, 청색과 녹색, 주황색, 자색은 병치되며, 투시와 명암을 사용하지 않고도 형태를 만들어낸다. 이를 통해 화면에 리듬과 생동감을 더해 농원의 평온함과 활력을 동시에 담아내고 있다.
출품작은 수평적이고 안정적인 구도를 보여준다. 하늘, 산, 들판이 차례로 배치되며, 화면 중앙에 자리한 두 그루의 나무는 수직적 대비를 이루어 시선을 끈다. 하얀색 나뭇잎과 원색으로 표현된 나뭇가지는 강렬한 색채 대비를 이루고, 90년대 이후 커진 붓터치는 색면을 형성해 화면에 안정감을 더한다. 이대원의 대표적인 색채인 적색, 황색, 청색과 녹색, 주황색, 자색은 병치되며, 투시와 명암을 사용하지 않고도 형태를 만들어낸다. 이를 통해 화면에 리듬과 생동감을 더해 농원의 평온함과 활력을 동시에 담아내고 있다.
20250218 : S : 추정가 KRW 150,000,000 ~ 250,000,000 : HP : 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