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미술/권옥연 작품관24

권옥연(1923~2011) : 여인 : 패널에 유채 : 33.5 x 26cm 2021-09-16 10:21:16 2022. 12. 13.
권옥연(權玉淵 : 1923~2011) : 풍경 : Landscape : oil on hemp cloth : 45.5☓25.0cm : 1957년 2021-05-21 16:21:30 2022. 12. 8.
권옥연(1923 - 2011) : 풍경(1957) : 캔버스에 유채 : 98×71.5cm 2021-01-07 22:08:12 2022. 12. 3.
권옥연(1923 - 2011)-풍경-1957년-100×72.7cm (40호)-캔버스에 유채 2020-03-12 20:25:41 2022. 11. 23.
권옥연(1923 - 2011)-자클린-1959-캔버스에 유채-65.1×50cm (15호) 2019-09-16 21:50:19 2022. 11. 20.
권옥연 - (Ésprit de bois) A - 1965~68 - 149.5☓126.7cm - oil on canvas 2018-11-21 21:14:33  LITERATURE Gana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Kwon Ok Yon: 2015, p.37.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Artist of the Year 2001-Kwon OkYon: 2001, p.3.Misool Journal, Kwon Ok YonⅠ: 2001, pp.16-17.Junghan Publishing, The Collection of Modern Korean Paintings 17: 1983, p.16, pl.8. 2022. 11. 16.
권옥연 - Halo 2 - 1995년 - 100호 - oil on canvas 2018-11-21 21:14:10 그리움과 관능이라는 인간의 원초적 환상에 충실하게 몰입했던 권옥연은 청회색과 암회색 등 도회적 감성이 깊게 베인색채로 자신만의 색채미감을 완성했다. 권옥연의 작품세계는1940년대부터 1950년대 중반의 도불渡佛 이전 시기와 1950년대후반 도불 기간 및 1960년대의 마티에르가 풍부했던 토속적추상화 시기, 그리고 1970년대 이후 초현실적 경향의 구상화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목가적 서정주의로 대변되는 초기의 화풍은 향토적 소재주의의문맥 안에서 장식적인 후기 인상파 양식을 선보였다. 사실적이면서도서사적인 분위기를 만들어내던 화풍은 도불 이후 현실의 세계에서상상의 세계, 꿈의 세계, 무의식의 세계로 전환 되었다.이러한 화풍의 변화는 파리에 머물 당시 유행했던앵포르멜 열.. 2022. 11. 16.
권옥연 Still Life 80.0☓100.0cm (40) 2018-05-15 16:11:21 LITERATUREGana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KWON OK YON: 2015, p.211.  EXHIBITEDGana Art Center, KWON OK YON: 11 Dec 2015 - 24 Jan 2016.   작품설명출품작에서는 권옥연 특유의 청회색 톤, 암갈색의 조화가 잘 나타난다. 이러한 색감은 권옥연이 추구하는 추상성과 비현실성이라는 개념에 깊이를 더한다. 감각적이거나 자극적이지 않은 색감을 사용하면서도 매혹적인 톤의 색조는 권옥연만의 매력적 화법이다. 또한 대상의 재현을 작가의내면을 거쳐 추상적 형상으로 표현해냈다. 그렇기 때문에 권옥연은 하나의 사조나 흐름으로 대표되는 작가라기보다 본인 스스로의 양식을 완성해 온 .. 2022. 11. 12.
권옥연 1982년 12호 소녀 2017-08-19 10:04:43 2022. 11. 9.
권옥연 1962년 120호 신화 2017-05-12 18:47:35 작품수록처Misool Journal, Kwon Ok YonⅠ: 2001, p.76. 작품설명그리움과 관능이라는 인간의 원초적 환상에 충실하게 몰입했던 권옥연은 청회색과 암회색등 도회적 감성이 깊게 베인 색채로 자신만의 색채미감을 완성했다. 권옥연의 작품세계는 1940년대부터 1950년대 중반의 도불渡佛 이전 시기와 1950년대 후반 도불 기간 및 1960년대의 마티에르가 풍부했던 토속적 추상화 시기, 그리고 1970년대 이후 초현실적 경향의 구상화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목가적 서정주의로 대변되는 초기의 화풍은 향토적 소재주의의 문맥 안에서 장식적인 후기 인상파 양식을 선보였다. 사실적이면서도 서사적인 분위기를 만들어내던 화풍은 도불 이후 현실의 세계에서 상상의 세.. 2022. 11. 8.
권옥연 - 여인(1991년) 6호 2016-05-31 02:18:48 2022. 11. 3.
권옥연 - 여인(1970s) 12호 2016-05-31 02:17:25 2022. 1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