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미술/유영국 작품관

유영국(1916 ~ 2002) : 연 : oil on canvas : 88.2×88.2cm : 1966

by 주해 2023. 8. 10.

 

작품 설명

유영국은 한국 모더니즘 미술의 1세대 작가로서 한국 근현대미술에 추상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미술을 도입하고 발전시켰다. 자연을 기본 조형요소로서 추상화한 그의 작품은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라고 할 수 있다. 추상이란 어떤 것에서 그 특성이나 속성을 빼내는 일을 뜻하는데, 외형 안에서 본질을 파악해 드러내는 일이다. 시각 예술에서의 추상은 대상을 똑같이 시각화하는 것이 아니라 내면에 집중해 드러내는 미술이 곧 추상 미술인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유영국의 추상은 자연을 모티프로 삼아 시각적으로 체험한 모습 그대로가 아닌 그 내부에 존재하는 자연의 근원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또한 유영국은 긴 화업 기간 동안 일관되게 추상미술을 전개했는데, 대부분의 추상 화가들이 일정한 기간 동안 구상 회화를 거친 것과는 달리 그는 60여년이 넘도록 엄격한 구성주의적 패턴 속에서 산을 비롯한 자연의 이미지를 추상화했다.

유영국은 일제강점기인 1916년 울진에서 태어나 1930년대 동경문화학원에 유학하면서 미술을 시작했다. 그의 추상미술은 동경문화학원 서양화과 재학 시절 일본에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던 추상파와 입체파 등의 현대미술의 영향을 받아 시작됐다. 유영국이 유학할 당시는 우리나라 화가들이 일본에 가장 많이 유학할 시기였는데, 이들의 작품 성향은 두 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제국미술전람회》와 《문부성전람회》에 출품했던 김인승, 심형구, 이봉상 등 이른바 아카데믹한 화풍의 화가들이고, 나머지 하나는 《자유미술과협회전(이하 자유전)》, 《N.B.GNeo Beaux-Art Group 양화전》, 《독립미술가협회전》 등을 통해 작품을 발표했던 김환기, 유영국, 이중섭 등의 반 아카데미즘 화가들이다. 유영국은 그중에서도 가장 전위적인 《자유전》에 참가했는데, 창립한 때인 1937년부터 1942년까지 6년간 작품을 선보였다. 특히 1938년 제2회 《자유전》에서 구성주의적 릴리프 작품을 출품해 최고상을 수상하고, 이후 《N.B.GNeo Beaux-Art Group 양화전》, 《독립전》에 참가하면서 추상회화의 가능성을 만들어갔다. 하지만 이후 전시체제에 들어선 일본 사회는 미술 보국이란 군국주의적 문화정책이 펼쳐져 자유주의적 전위 활동은 금지되고 모던아트 및 추상미술도 제한됐다. 이러한 이유로 유영국은 1942년 귀국 후 해방까지 3년간 고향에서 시간을 보내며 잠적하게 된다. 해방이 되자 유영국은 상경한 뒤 1947년에 김환기, 이규상 등과 함께 한국 최초의 추상미술 단체인 ‘신사실파’를 창립했는데, 이 시기 그의 작품은 명확하고 단순한 구성주의적 경향에서 자연에 대한 깊은 울림을 전하는 비구상적 경향으로 변하게 된다. 신사실파를 통해 발표된 유영국의 작품에는 산이나 바다 등 자연의 보편 형상이 화면 구성의 형식적 요소로 드러나 있다. 이 같은 구상적 풍경화는 일본에서 귀국하여 고향에서 농사일을 거들며 지내던 기간이 영향이 있었을 것이며, 고향의 근처 해변에 나가 온종일 먼 산을 바라보거나 수영하는 것으로 소일했던 일상이 자양분이 됐을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한동안의 고향 생활이 작업에 있어 새로운 전환을 하는 충분한 동기가 되었던 것이다. 화면에는 산, 바다, 나무 등의 자연 풍경에 대한 흔적이 남게 되고 색채 그리고 선과 면으로 구성된 비구상적인 형태가 존재하게 됐다. 이에 대해 유영국 스스로도 자신의 작품을 ‘자연의 추상’이라고 말한 바 있다.

1958년부터 1962년까지 유영국은 조선일보사에서 주최한 《현대작가 초대전》에 참여했는데, 현대작가 초대전은 당시 추상표현주의 미술의 전개와 때를 맞춰 우리나라 현대미술의 전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그러나 유영국의 추상미술은 앵포르멜 미술과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독자적인 길을 모색하고 자신만의 양식을 다져 나갔다. 자연의 보편적인 형상을 틀로 해 전개된 작업은 강렬한 색채 및 작열하는 섬광으로 표현성을 드러냈지만, 구성의 해체와 우연성의 강조라는 앵포르멜 미술과는 달리 견고한 구성과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 시기 색채는 더욱 강렬한 원색으로 채워지면서 날카로운 선의 표현은 한층 긴장된 화면을 조성하는 동시에, 여기저기에서 돋아나는 빛의 반사는 화면 전체의 긴장감을 환기하며 조화로운 화면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특징은 이번 출품작 <연>에서도 볼 수 있다. 화면 전반을 덮은 짙은 녹색은 차분하고 중후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첩첩산중으로 이어지는 산의 모습을 표현한 듯한 면 분할은 각기 다른 명도의 색으로 칠해 어두운 화면 안에서도 유기적인 형상을 은은히 드러내고 있다. 날카롭게 이어지는 선의 형태들이 주변을 둘러싸고 있고 그 안으로 투박한 나이프의 터치로 남긴 듯한 물감층에서는 거친 마티에르를 느낄 수 있다. 하단으로는 푸른색으로 칠해 전반적으로 어두운 화면에서 변화를 준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마치 산세 사이로 흐르는 강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푸른색으로 칠해진 면은 둘로 나눠 오른쪽이 약간 어두운 색조로 칠해진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표현은 자연의 빛에 따라 변화하는 강물의 다양한 색감을 담으려는 시도처럼 보인다. 화면 한가운데서 마주치고 침투하며 충돌하는 색채와 광선의 연속은 역동감을 불러일으키고, 녹음이 우거진 푸른 숲의 전경을 담은 듯한 색들이 서로 스며들며 조화롭게 존재하는 화면에서는 자연 그 자체를 느낄 수 있다. 이렇듯 기하학적 절대 추상에서 벗어나 낙관주의적 관점에서 표현한 유영국의 자연 추상은 보는 이에게 각기 다른 심상으로 다가와 서정적인 울림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