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미술/김기창 작품관10

운보 김기창(1913 ~ 2001) : 강무도(講武圖) : ink and color on silk : 174.3×207.5cm : 작품설명 Work Description2미터가 넘는 광대한 화폭 안에 세종의 사냥 모습을 위엄 있게 담아낸 운보의 강무도이다. 오례五禮 중 하나인 군례軍禮에 속하는 강무는 국왕이 직접 군사들을 이끌고 훈련을 함으로써 왕실의 권위를 높이고 통치체제의 기반을 강화시키는 목적으로 활용됐다. 특히 세종은 강무에 대한 관심이 높았는데, 이는 《조선실록》 중 강무에 대한 1,106건의 기록 가운데 세종 때 356건으로 가장 많았던 것을 미루어 보아 알 수 있다.출품작은 세종이 훗날 문종이 되는 세자와 문무대신, 그리고 군사들과 함께 드넓은 벌판에서 강무를 하는 광경이 묘사되고 있다. 언덕 아래에서부터 몰이꾼들에 의해 유인된 사슴 떼와 호랑이, 토끼 그리고 멧돼지를 겨냥한 세종의 활시위가 날카롭게 당겨지고 있다.보편.. 2025. 4. 10.
김기창(1914~2001)-가을-1935년-170.5*110cm-비단에 수묵담채 2020-04-12 14:26:20 2022. 11. 24.
김기창(1913-2001 ) - 1936년 - 211 * 216cm - 해녀 2020-03-01 00:34:36 20161214 : S : 추정 120,000,000 ~ 200,000,000 : HP : 310,000,000 2022. 11. 23.
김기창(1913-2001) - Quiet Listening - 159 x 134.5 cm - 1934 2020-02-01 23:06:45 https://www.christies.com/lotfinder/paintings/kim-ki-chang-quiet-listening-6001926-details.aspx?from=searchresults&intObjectID=6001926&sid=5eaac232-c781-4900-a4c2-b085935a1f1c  KIM KI-CHANG (Korean, 1913-2001)More from Asian 20th Century Art (Day Sale) View Allwww.christies.com 국립현대 미술관  소장 Asian 20th Century Art (Day Sale)Convention Hall   29 May 2016KIM KI-CHANG (Korean, 19.. 2022. 11. 22.
운보 김기창(1913 - 2001) - 산사 山寺 - 1953 - 비단에 수묵담채 - 39×48.5cm 2019-12-27 21:28:16 2022. 11. 21.
운보 김기창 (1913~2001)-정물(靜物)-ink and color on paper -66.4☓65.2cm 2019-10-17 23:24:51  LITERATURE운보와 우향 40년만의 나들이(운보미술관, 2011), p.61.雲甫 金基昶Ⅰ(에이피인터내셔날, 1994), p.256, pl.Oa057.韓國近代繪畵選集 金基昶/朴崍賢(금성출판사, 1990), pl.8.雲甫 金基昶(EDITIONS API, 1989), p.73, pl.2.雲甫 金基昶(庚美出版社, 1980), p.176, pl.122. 작품설명소반 위에 얹어진 과실을 그린 정물은 현대적인 동양화를 고민했던 운보의 시도 중 하나였다. 정지된 대상을 주제로 삼는 정물화는 서양화의 장르를 차용한 것이며, 다시점에서 바라본 모습을 한 화면에 담아내는 기법은 입체파의 큐비즘을 떠올리게 한다. 출품작의 과실은 한 시점에서 바라본 모습인 반면, 소반은 정면에서 바.. 2022. 11. 20.
운보 김기창(1913~2001)-부엉이(鴞)-86.1☓105.0cm - 1984 - ink and color on silk 2019-06-25 04:10:06  LITERATURE雲甫 金基昶Ⅳ(에이피인터내셔날, 1994), p.89, pl.Mb040-U. 작품설명열매가 빨갛게 익은 가을밤 나무둥치에 부엉이 두 마리가 있다. 뭉툭한 필선으로 날개를 그리고 세필로는 얼굴의 털을 묘사했으며, 부엉이 특유의 크고 노란 눈은 또렷하고 매섭게 그렸다. 부엉이는먹의 중첩과 농담으로 깃털의 느낌과 무늬까지 구체적으로 묘사한 반면, 일필휘지로 슥슥 그려낸나무기둥과 저 멀리 달빛이 보일 듯한 배경처리는 깊은 가을 밤의 분위기를 자아낸다.운보는 화제畵題에 관해서도 끊임없이 새로운 소재를 발굴하려 노력했다. 독수리, 매, 학과 같은 전통적 소재뿐만 아니라 부엉이, 참새와 같은 다양한 조류鳥類를 화제로 삼았는데, 그 중에서도 부엉이는 운보가 특히 .. 2022. 11. 19.
운보 김기창(1913 - 2001) - 태고의 이미지 - 종이채색 - 163×139cm 2019-05-08 19:48:50 2022. 11. 18.
김기창 - 아악의 리듬(1967년) 40호 (한국근현대회화100선) 2016-03-29 19:41:20 2022. 11. 1.
김기창 태고(1964년) : 136 x 160.5cm(100호) - color on paper 2016-03-09 08:58:30 20181213 : S : 추정 80,000,000 ~ 150,000,000 : HP : 80,000,000 (수리 많음) 2022.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