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5-07 10:16:19
https://www.chosun.com/culture-life/art-gallery/2021/05/07/FMC7QSCRRVB7VCIMWWJTVFXJZ4/
서세옥·최만린·김영덕 유족들 국·공립박물관에 대표작 기증
서세옥, 최만린, 김영덕
한국화 거장 서세옥(1929~2020), 한국 추상 조각의 대가 최만린(1935~2020) 선생의 대표작이 대거 국·공립미술관에 최근 기증된 것으로 6일 확인됐다. 이른바 ‘이건희 컬렉션’ 기부에 국민적 관심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한국 미술계 거인들을 기리는 유족 측의 이번 결정이 기증 문화 확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본지 취재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별세한 수묵 추상의 개척자 서세옥 화백의 그림 100여점이 국립현대미술관(14점)과 고향에 들어선 대구미술관(90점)에 지난달 기증됐다. 이번 기증 작품의 가치는 가격으로 따지면 수십억원 수준에 달한다. 지난달 경매에서 그림 한 점이 1억6000만원에 낙찰될 정도로 고가(高價)에 거래되는 까닭이다. 대구미술관 측은 “자체 평가 결과 최근 기증받은 21점의 ‘이건희 컬렉션’보다 액면가 면에서 더 높았다”고 했다.
역시 지난해 11월 별세한 최만린 선생의 조각 및 드로잉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20점), 대구미술관(58점)으로 갔다. 국립현대미술관장을 지낸 1세대 조각가로, 동양 철학에 바탕한 한국 추상 조각의 대표적 명사다. 아들 최아사(61) 계원예대 교수는 본지 통화에서 “기증은 고인을 오래 기억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한 결과”라고 말했다. 이 밖에도 지난해 12월 별세한 서양화가 김영덕(1931~2020)의 유족이 최근 그림 9점을 부산시립미술관에 기증했다.
그림부터 조각까지… 기증이 미술관을 살찌우다
수묵 추상 거장 서세옥 화백은 사람을 줄곧 그려왔다. “가장 존귀한 존재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번에 국립현대미술관과 대구미술관에 기증한 100여점의 작품 목록에도 ‘사람’ 연작이 포함됐다. ‘춤추는 사람들’(1994)은 몇 개의 검은 선으로 단순화된 인파가 나란히 어깨동무하고 있는 듯한 작품이다. 여러 사람이 그림을 통해 이뤄내는 화합과 감동의 은유처럼 느껴진다.
서울부터 지방 미술관까지 기증 행렬이 잇따른다.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화가 서세옥을 대표하는 사람 연작 ‘춤추는 사람들’(1994), 화가 김영덕이 그린 유화 ‘건어-발기다’(1959), 조각가 최만린이 청동으로 제작한 추상 조각 ‘O. 89-8’(1989). /대구미술관·부산시립미술관
이번 기증은 특히 지방 미술관에 기증 바람을 일으켰다는 데 의미가 있다. 지방의 경우 서울 국립기관에 비해 예산이 열악해 지역 미술사(史) 연구 등 기증의 효과가 더욱 크기 때문이다. 국립현대미술관과 대구미술관에 작품을 기증한 조각가 최만린 선생의 경우 대구와 연고가 없다. 고인의 국립현대미술관장 재직 시절 학예실에서 일한 최은주 대구미술관장은 “유족 측이 지역 공공미술관의 역량을 신뢰해줬다”고 말했다. 대구미술관에는 최근 변종하 화가의 ‘수련’ 연작을 기증한 남성희 대구보건대 총장, 서진달 화가의 회화 작품을 기증한 인척 최철명씨 등 개인 소장가의 기증 사례도 줄을 이었다. 미술관 측은 “고(故)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을 비롯해 작고 작가·유족·소장가 등 다양한 소장처에서 기증 의사를 밝혀 나눔의 가치를 높였다”고 했다. 미술관 측은 시기별 작품 연구 뒤 전시로 선보일 예정이다.
지난해 별세한 서양화가 김영덕의 유족 측도 부산시립미술관에 그림 9점을 기증하겠다는 의사를 밝혀 현재 절차가 진행 중이다. 6·25전쟁의 비극을 헐벗은 아이들로 형상화한 그림 ‘전장의 아이들’(1955)로 유명한 화가다. 전쟁과 분단의 암울한 시대를 증언하는 작품을 주로 남겼는데, 이번 기증 목록에도 정물화 ‘건어’(乾魚) 등 당대 분위기를 일별할 수 있는 작품이 담겼다. 유홍준 전(前) 문화재청장은 최근 전남도립미술관 개관을 기념해 서예가 손재형의 글씨, 시인 김지하의 난초 그림 등을 기증했다. 미술관 측은 보답으로 감사패를 전달했다.
기증이 선의(善意)에서 나오는 것이긴 하나, 기증자에 대한 예우는 소박하다. 기증품을 모아 특별 전시를 개최하거나, 기증자나 유족의 이름을 미술관 벽면에 새기거나, 감사패를 전달하는 정도다. 기증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 개발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이유다. 고충환 미술평론가는 “최근 상속 문제를 해결하고 작품의 원활한 보존·전시를 위해 미술관 기부를 고려하는 작가가 늘어나는 추세”라며 “작품 선별뿐 아니라 기증에 대한 보상의 제도적 장치가 강화돼야 수작(秀作)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는 풍토가 조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미술품으로 상속세를 대납할 수 있도록 하는 ‘미술품 물납제’ 논의도 재점화되고 있다. 기혜경 부산시립미술관장은 “작가 측의 기증도 물론 소중하지만 기업이나 주요 컬렉터의 기증이 활성화돼야 미술관이 풍요로워진다”며 “물납제가 해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 미술 > 한국 미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번수(1943~ ) : 상대성 원리 : 세리그라프 , 목판화(V/IV) : 99 x 133cm : 1988년 (0) | 2022.12.07 |
---|---|
이건희 컬렉션, 한국작품 1369점·해외 119점… 나혜석·이상범 희귀작도 나와 (0) | 2022.12.07 |
“인왕제색도 산수화 최고 경지… 천수관음도, 박물관 엄청난 경사” (0) | 2022.12.07 |
삼성家 기증… 국립중앙박물관 2만1600점, 국립현대미술관에 1400점 (1) | 2022.12.07 |
故 이건희 컬렉션 21점 대구미술관에도 기증 (0) | 2022.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