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미술/한국 고미술393

분청자선각영모초화문호 粉靑磁線刻翎毛草花文壺....30.5×42.5(h)cm : JoSeon Period 참고도판 〈분청사기백니지선각은행유문호〉, 15-16세기, 높이 43.2cm, 일본 아타카컬렉션 소장 李秉昌, 『韓國美術蒐選-李朝陶磁』(財団法人東京大学出版会, 1978), p.17, pl.16. 장신의 대형호로, 구부는 외반되어 편평하고 짧은 목과 어깨에서 벌어져 풍만한 동체를 이루다 좁아지는 형태이다. 전면에 귀얄 수법으로 백토 분장을 하고, 조각도로 견부에는 거친 연판문을 선각으로 나타내었다. 이어 한 차례 굵은 선각으로 문양대를구획한 후 주문양으로 연꽃으로 추정되는 화문과 파초의 형태 등 다양한 수지문, 그리고 거북으로 보이는 영모문을 시문했다. 저부에는 파문과 앙련의 연판문을 여러 문양대로 나누어 분방하게 나타내었다. 선각을 중심으로 드문드문 박지 수법으로 기면을 깎아낸 곳이 있으며, 거친 귀얄 자.. 2023. 11. 12.
백자청화운룡문병(白磁靑畵雲龍文甁) : 17×24.5(h)cm .JoSeon Period 20231118 : S : 추정가 KRW 80,000,000 ~ 120,000,000 2023. 11. 11.
백자청화기명절지문팔각접시(白磁靑畵器皿折枝文八角楪匙) : 21.9×6.8(h)cm . JoSeon Period 팔각의 형태에 높은 굽을 덧댄 접시이다. 전 부분을 따라 모서리에 청화 띠를 그리고, 그 안으로 장식적인 종속문양대를 배치한 후 주문양으로 기명절지문을 시문했다. 고동기를 중심으로, 주변에 원형구도로 다양한 형태의 분재와 문방구, 고급 기물들을 둘렀으며, 이는 마치 한 폭의 책가도를 연상시킨다. 이와 같은 기명절지도는 조선후기 문인들 사이에서 서화·골동에 대한 완상玩賞의 수요가 높아지면서 유행하기 시작했으며, 도자기에서도 장식문양으로 드물게 나타난다. 희소한 도안만큼이나 시문된 완물玩物들의 묘사가 세밀하며, 여백에는 칠보문을 넣어 장식미를 더했다. 또한 접시 외면에는 ‘항상 길하고 상서로운 좋은 일들이 이뤄지길 바란다’는 의미의 ‘여의길상如意吉祥’문과 함께 화려한 연꽃 문양을 네 군데 배치했다. 굽의 내.. 2023. 11. 11.
백자청화도롱뇽형향꽂이(白磁靑畵山椒魚形香高支) : 11.5×5.5(h)cm . JoSeon Period 20231128 : S : 추정가 KRW 20,000,000 ~ 40,000,000 2023. 11. 11.
청자양각모란문화형접시 靑磁陽刻牧丹文花形楪匙...17×3.5(h)cm......GoRyeo Period 20231024 : S : 2023. 10. 18.
청자기린형향로 靑磁麒麟形香爐....20.8×22.7(h)cm....GoRyeo Period 작품 설명 참고도판 및 문헌 <기린모양 향로>, 고려 12세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천하제일 비색청자』(국립중앙박물관, 2012), pp.112-113, pl.124. 20231024 : S 2023. 10. 18.
청자상감국화당초문유개잔, 잔대 靑磁象嵌菊花唐草文有蓋盞, 盞臺...유개잔: 10.6×10(h)cm...잔대: 15.5×4.5(h)cm....GoRyeo Period 작품 설명 작품수록처 정양모, 『한국 도자 감정-청자』(국민대학교 출판부, 2021), pp.272-273. 참고도판 및 문헌 , 고려 13세기 후반-14세기 전반, 호림박물관 소장 『고려청자』(호림박물관 신사분관, 2009), pp.134-135, pl.103. 20231024 : S 2023. 10. 18.
백자대호 白磁大壺...42.3×47.5(h)cm....JoSeon Period 작품 설명 '흰빛의 세계와 형언하기 힘든 부정형의 원이 그려 주는무심한 아름다움을 모르고서 한국미의 본바탕을 체득했다고 말할 수 없을것이다. … 아주 일그러지지도 않았으며 더구나 둥그런 원을 그린 것도 아닌 이 어리숙하면서 순진한 아름다움에 정이 간다.' - 혜곡최순우 풍만한 양감과 꾸밈없는 형태, 담백한 유백색의 피부를 자랑하는 백자대호다. 높이는 47cm에 이르며 넓은 구연부에서 좁게 다듬어진 굽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인 비례가 적당해 안정감을 보여준다. 이른바 ‘달항아리’라 불리는 백자대호로 기형과 태토, 유약으로 미루어 18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달항아리’라는 명칭은 주로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까지 제작된 작품들을 일컫는데, 개중 40cm 이상의 크기는 주로 왕실행사에 사용되었기에.. 2023. 10. 18.
청자철채상감초문주자(靑磁鐵彩象嵌草文注子) : 23.3x16.8x29.0(h)cm : GoRyeo Period 작품 설명 청자 태토 위에 산화철이 함유된 안료를 면의 형태로 도포하고, 문양을 백상감한 철재주자이다. 올곧게 뻗은 두터운 긴 목은 끝이 살짝 각진 채로 외반되었다. 목은 어깨와 각을 형성하며 만나고, 동체는 지면과 수직을 이루며 떨어지다가 점차 저부를 향해 좁아 든다. 직선으로 뻗은 짧은 주구와 각진 견부는 기형 전반에 단단하고 강직한 느낌을 부여하며, 손에 쥐기 좋은 형태의 손잡이는 직선적인 느낌이 강조된 주자에 곡선미를 가미한다. 이와 유사한 형태의 주자가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주목된다. 또한 동체에 백토를 심어 그려낸 두 줄기의 갈대는 섬세한 선묘로 단순하면서도 선적인 미감을 드러낸다. 곧게 뻗은 줄기와 좌우로 뻗친 가지, 또한 줄기 끝에 점을 찍어 마무리했으며, 이는 검은 바탕과 강하게.. 2023. 6. 27.
백자양각십장생문병(白磁陽刻十長生文甁) : 18.2x32.1(h)cm : JoSeon Period 작품 설명 살짝 벌어진 구연에 목이 길고 둔부가 팽만한 형태의 병이다. 동체 면에 청화 대신 양각으로 정교히 시문한 십장생문은 후기 분원 백자의 또 다른 섬세함을 드러낸다. 양각기법은 주로 백자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 작품의 경우 특히 세밀하게 조각된 각과 문양의 사실적인 표현, 정교한 구성 등이 돋보인다. 각 장생물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그 특징이 잘 묘사되었다. 또한 형상의 특색을 잘 살려 동세감을 주었으며, 구름과 학, 사슴, 거북, 소나무와 대나무가 한데 어우러져 한 폭의 선경을 이루었다. 유약은 은은한 광택 있는 담청백자유가 시유됐으며, 안다리 굽으로 접지 면의 유약을 훑어내고 흰 모래받침으로 번조했다. 또한 굽이 높게 제작되어 뛰어난 기술력과 화려한 장식미를 모두 갖춘 내사병이었음을.. 2023. 6. 27.
백자청화화훼문육각병 (白磁靑畵花卉文六角甁) : 15.3x20.0(h)cm : JoSeon Period 여섯 면으로 각진 형태에 화훼문을 시문한 백자병이다. 경부는 상하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살짝 벌어졌으며, 동체 중앙이 과감하게 부풀어오른 기형으로 풍만함이 눈에 띈다. 문양대를 살펴보면, 무문으로 여백을 둔 목 부분과는 대조적으로 동체에는 주문양을 가득 채워 대비를 이룬 것이 특징이다. 하단에 한 줄에 청화를 띠를 둘러 문양대를 구성한 후 그 위에 화훼를 배치했다. 화훼문은 동체의 각 모서리를 중심으로 두 면씩 매화와 목련, 연화와 국화를 시문했는데, 서로 이어질 듯 조금씩 면을 침범하며 꽃잎과 줄기를 표현한 점이 눈에 띈다. 또한 시문된 문양은 얇은 필선으로 잎맥까지 굉장히 세밀하게 묘사됐으며, 농담의 변화도 자유자재로워 예사 실력이 아님을 짐작케 한다. 유려하게 곡선을 그리는 줄기나 활달하게 떨친 이파.. 2023. 6. 27.
백자청화산수문주자(白磁靑畵山水文注子) : 18.1x15.4x18.4(h)cm : JoSeon Period 18.1x15.4x18.4(h)cm JoSeon Period 작품 설명 登東皋而舒嘯 동쪽 기슭에 올라 휘파람 불다. -동진東晋 도연명陶淵明, 365-427, 「귀거래사歸去來辭」 구형에 가까운 둥근 동체와 작은 꼭지가 달린 뚜껑, 각이 진 채 완만한 곡선을 그리는 손잡이와 주구로 이뤄진 주전자이다. 주문양은 엷은 청화로 뚜껑을 포함한 동체 전면에 산수를 그렸고, 손잡이 상면에 문자를 시문했다. 동체 최저부에 일조대선을 두른 후 그 사이에 산수풍경을 기면을 따라 섬세한 필치와 다양한 청화의 발색으로 한 폭의 회화처럼 운치 있게 그려냈다. 좌측 주구 부분과 맞닿은 높은 산세 위 누각을 시작으로, 근경의 완만한 지형과 강변 가운데 위치한 둔덕을 지나 누대까지, 짜임새 있는 구성을 보여준다. 이어 주전자를 살짝 .. 2023. 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