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간 2조달러 쓴 미 철군 후 탈레반, 파죽지세로 카불 진입
중·러, 위구르·체첸 이슬람 근본주의 세력과 연계될까 촉각
인도 등 주변국, 테러·난민 우려… 수니파 탈레반, 이란도 위협
15일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을 점령한 탈레반 전사들이 대통령궁을 장악하고 있다/AP연합뉴스
파죽지세다. 탈레반이 수도 카불까지 진격했다. 결국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권력 이양을 선언했다. 탈레반의 재집권이 눈앞에 있다. 미군 철군이 탈레반 공세에 기름을 부었다. 7월 2일 미군은 바그람 기지를 떠났다. 아프간 정부에 사전 통보도 하지 않을 정도로 전격적이었다.
16일(현지시간)아프가니스탄의 아슈라프 가니 대통령이 망명하고 탈레반의 집권이 확실해지자 카불공항은 몰려든 탈출 인파로 혼잡을 이루고 있다/AFP연합뉴스
어찌 보면 미국에 이번 철군은 불가피한 수순이었다. 개전 초 미국은 탈레반 정권을 쉽게 무너뜨렸다. 알카에다 거점도 파괴했다. 그러나 거기까지였다. 전쟁 목표가 ‘국가 건설’로 바뀌면서 모든 것이 꼬였다. 다양한 종족과 종파, 난무하는 군벌, 외세에 대한 반감이 난마처럼 얽힌 아프가니스탄을 민주주의 세속 국가로 거듭나게 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혼돈 속에 탈레반은 되살아났고 전쟁은 하염없이 이어졌다. 20년 동안 미군 2440여명이 죽었고 약 2조2600억달러의 전비가 들었다. 결국 작년 2월 트럼프 정부는 협상을 위해 탈레반과 마주 앉았다. 미군과 나토 세계 열강 군대가 8만 병력의 탈레반 하나 없애지 못한 것이다.
왕이(오른쪽) 중국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28일(현지시간) 톈진에서 자국을 방문한 아프가니스탄 무장 조직 탈레반의 2인자 물라 압둘 가니 바라다르(왼쪽)와 면담하고 있다. 왕이 부장은 이 자리에서 "미군 철수는 미국의 아프간 정책 실패를 상징하고, 아프간 국민들이 자국을 안정시키고 발전시킬 중요한 기회"라고 말했다./AFP 연합뉴스
지난 4월 바이든 대통령은 8월 말 철군 완료를 못 박았다. 미국 내 여론도 지지하고 있다. 약 73%가 철군을 찬성했다. 반면 외교적 부담도 있다. 다시 아프가니스탄에 지옥도가 펼쳐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미국은 인권과 민주주의를 기치로 중국 압박에 나선 터다. 이 와중에 미국이 아프가니스탄을 버리고 민주주의와 인권을 포기했다는 비판이 매섭다. 실제로 상황은 악화일로다. 카불 주재 해외 공관과 외국인들은 비상 피란 계획을 세우고 있다.
15일(현지시간)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캠프데이브드 별장에서 화상으로 아프간 상황을 보고 받고 있다/백악관 트위터
철군을 단행한 바이든의 구상은 무엇이었을까? 될 대로 되라는 식으로 내버려두고 빠져나오는 것이었을까? 상원의원과 부통령을 거치면서 숱한 외교 경험을 가진 관록의 바이든이 그럴 리는 없다. 낙관과 비관, 두 시나리오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먼저 낙관적 시나리오다. 탈레반의 목표는 뚜렷하다. 아프가니스탄 안에 이슬람 이념의 통치 체제를 구현하는 것이다. 글로벌 테러 확산을 추구하는 알카에다나 혁명의 수출을 국시로 하는 이란과는 다르다. 미국은 이 점에 천착해 조건을 걸었다. 테러 세력과 절연하고 권력 분점을 약속하면 미군도 철수하고 탈레반을 인정하겠다는 것이다. 외교와 개발을 군사력에 앞세우는 바이든의 대외 전략 기조와도 맞는다. 복안이 하나 더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다. 탈레반은 사우디를 의식한다. 성지 관할권을 갖고 있는 실질적 이슬람 종주국이기 때문이다. 1996년 탈레반 정권을 승인했던 이슬람권 세 나라 (사우디, UAE, 파키스탄) 중 하나다. 사우디가 탈레반을 이단으로 규정하고 성지순례 불허 또는 이슬람협력기구 가입을 막으면 정통성에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탈레반은 폭력 수준을 낮추어 국제사회 눈치를 볼 것이고, 미국은 사우디를 통해 탈레반을 통제할 수 있을 것이라 고려했을 것이다.
탈레반/AFP연합
그러나 이러한 낙관론은 비현실적이다. 탈레반은 종교 이념에 편향된 외골수들이다. 외세 축출을 위해 20년 동안 총을 들었다. 순식간에 온건 정치 세력으로 변신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탈레반 내부 균열도 문제다. 일사불란한 위계 조직이 아니라 지역별 프랜차이즈 연대에 가깝다. 일부 지방 조직은 중앙 지도부 노선과 별개로 움직인다. 일부 조직의 폭력 행위는 이미 선을 넘고 있다. 더 우려할 점은 테러다. 다수 알카에다 출신들이 탈레반에 가입해 있다. 미군을 쫓아냈다는 선전전에 홀린 잠재적 테러 분자들이 탈레반을 동경하며 아프가니스탄으로 몰려들 수도 있다. 미국의 바람과는 달리 현 상황은 다소 비관적이다.
'역사 . 문화 .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북·탈북·일흔에 英이주… 한 탈북민의 굴곡진 삶英가디언, 故김찬숙씨 사연 보도 (0) | 2022.12.12 |
---|---|
피란민 흥남철수 작전땐, 든든한 뒷배 돼준 미주리호... 20세기 세번의 전쟁 참전백전노장 전함 미주리호 (0) | 2022.12.12 |
미군에 협력한 2500명 탈출... ‘월남 패망' 닮아가는 아프간4월 철군 발표 후 탈레반 기세 올리며 급속도로 세력 확장탈레반 “이슬람 체제 원해”…이슬람 근본주의 부활 우려 커져 (0) | 2022.12.11 |
마지막 화전민, 강원도 골짜기 '사무곡'의 겨울.... 오직 추위와 더위, 낮과 밤만 있을 뿐. (KBS_2018.01.13 방송) (0) | 2022.12.11 |
‘롱십’ 타고 유럽 호령… 아메리카 대륙도 처음 발견했대요.....바이킹 (0) | 2022.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