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능행도 華城陵幸圖-color on silk -53.9☓146.2cm (eight-panel screen)
2019-12-11 22:03:58 LITERATURE 宇鶴文化硏究 제17호-민화, 궁중의 담을 넘다(용인대학교박물관, 2016), pp.66-83, 134-149, pl.7.정조, 8일간의 수원행차(수원화성박물관, 2015), pp.52-57, pl.7.宇鶴文化硏究 제14호-화성능행도병(용인대학교박물관, 2011) 작품설명 화성능행도는 1795년정조 19 윤2월 9일부터 16일까지 8일간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홍씨1735-1815를 모시고 부친 사도세자1735-1762의 묘소인 현륭원에 행차하며 벌어진여덟 가지 장면을 그린 병풍이다. 조선시대에는 궁중에서 치룬 행사를 그림으로 기록해 기념하고 후대에 남기는 관례가 있었는데, 이렇게 그려진 궁중기록화 가운데화성능행도는 그 행사의 규모나 역사적 의미, 회화성..
2022. 11. 21.
이대원(1921~2005)-소나무-50.0☓60.5cm (12) -1977년
2019-12-11 21:19:32 “ 자연의 힘에 새로운 마음의 눈이 열리는 것 같다. 나는 한 그루 나무, 한 포기 풀, 한 줌의흙을 사랑스러운 마음과 두려운 마음으로 바라보며, 이들은 깊은 곳으로부터 내 ‘화심 畫心 ’을이끌어내고있다.”-이대원(1975), 「내가 좋아하는 소재」, 『李大源, 惠化洞 五十年』, Youlhwadang이대원의 작품은 주로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하는 풍경들을 담고 있다. 그중 가장 심취했던 주제는 자연이다. 1960년대까지 반닫이, 백자접시 등 고전미 古典美 를 드러낸 작업이 주로 등장했고, 이후1970년대부터는 자연 풍경에 더욱 몰두했다.1977년에 제작된 출품작은 산을 배경으로, 전면에는 나무를 가득 배치했다. 뒷면에 제목을 라고 명시했는데, 소나무는 그가 한국적 멋의 ..
2022. 1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