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미술/박수근 작품관

박수근(1914 ~ 1965) : 시장의 여인 : oil on masonite : 30.0x28.5cm : 1960s

by 주해 2022. 12. 30.

 

LITERATURE
『박수근』(가나아트, 2014), p.123, pl.69, p.243.
EXHIBITED
가나인사아트센터(서울), 《박수근 탄생 100주년 기념전》: 2014.1.17-3.16.


작품 설명
“ 그가 그린 대상은 주변의 친숙한 사람들이다. 사람과 사람들의 관계 속에서 삶을 억세게 살아가면서도  언제나 외적 운명을 조용히 수용하는 행상이나 시장의 아주머니, 세월과 나이를 긍정적, 체념으로 아름답게  받아들이는 노인이 등장한다. 그리고 그의 그림 속에는 시간과 역사성이 내재하게 된다. … 사실 예술이 
시대정신을 반영한다는 것은 정치적·사회적 개혁의 의미에만 국한될 수는 없는 터이다. 미술의 사회성, 역사성도  중요하지만 작가 자신의 예술과 삶에 대한 뜨거운 사랑에서 우러나온 마음의 울림 또한 그만큼 중요하다. 
한 시대의 증언이 꼭 의식과 사회성에만 기초하는 것은 아니어서, 자기 시대를 온몸과 넋으로 산 사람의 작품은  작품 자체만으로도 그 시대를 증언하고 있다.” –이석우
「박수근 삶의 특이성과 원초적 한국미 발견」, 『박수근 회화 새로 보기』(예서원, 2014), p.19.  당시 서민들의 모습을 한국적이고 소박하게 그려낸 박수근은 정규 미술교육을 받지 않고 독학으로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구축했다. 이로 인해 주류를 이루던 아카데미즘에서 벗어나있던 그는 시류나 유행에 휩쓸리지 않고  
일찍이 독자적인 화풍을 확립할 수 있었다. 당시 향토적인 주제를 선택했던 작가들이 감상주의적이거나  사회개혁적인 시각으로 접근하였던 것과는 달리 박수근은 따뜻한 민중 정서와 있는 그대로의 삶의 진실에서  출발하여 ‘민족적 리얼리즘’을 재현했다. 또한 미색, 암갈색, 황갈색이 주를 이루는 단조로운 색채와 명암, 원근이  배제된 구성은 한국의 소박하면서도 담아한 미의식을 잘 담아낸다.
출품작에는 흰색 한복에 고무신을 신은 여인이 중앙에 앉아 있고, 여인의 옆에는 커다란 광주리가 놓여있다.
 작품의 제목을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듯, 전쟁 이후 궁핍한 시대에 시장에 나와 물건을 팔며 가계를 꾸리는 여인의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박수근은 작품에서 유사한 소재를 반복적으로 그렸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자주  등장하 것이 농가의 일하는 여인이다. 6.25 전쟁 이후 생계를 책임지기 어려운 남성들을 대신해 여인들이 생활을  꾸려갔던 당시 시대상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출품작을 보면 별다른 배경의 묘사 없이 여인만이 화면에 가득 차게 배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배치는 작품 속 대상에 더욱 집중하게 만든다. 이는 완숙기에 이른 박수근 작품에서 자주 나타나는 구성이다. 이 시기 박수근의 작품에는 명암법이나 원근법을 배제한 평면적 표현이 심화되며, 대상의 검은  윤곽선은 더욱 굵고 짙어진다. 출품작 또한 1960년대 작품으로, 단순하고 명료한 몇 개의 선만으로 여인의 옷깃,  틀어 올린 머리와 고무신의 특징적인 부분을 잘 묘사하고 있다. 힘 있게 뻗어나가는 직선들 사이에 여인의 얼굴,  광주리와 과실, 고무신의 앞 코 등에서 보이는 곡선들은 작품에 변화를 주고, 이러한 선들로 분할된 다양한 크기의  면은 서로 조화를 이루며 조형적 미감을 만들어 낸다. 또한 작품은 전체적으로 암갈색 톤을 이루는데, 그 안에서도  여인의 피부는 황갈색, 고무신과 머리는 흑갈색, 옷은 흰색, 과실은 밝은 황색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색채의
 사용은 무채색의 기조 안에서도 작품이 단조롭지 않도록 변화를 준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그의 작품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우리나라 산천에서 흔 볼 수 있는 화강암과 같은 질감의 표현이다. 박수근은 화강암의 물성을  체득하여 그림에 살리기 위해 우리의 옛 석물, 석탑을 찾아다니며 탁본을 하거나, 항상 주머니에 돌을 넣어두고  재질을 연구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 마치 돌과 같은 두터운 마티에르이다. 박수근은 표면에 독특한  요철을 내기 위해 기름을 섞지 않은 물감을 가로와 세로로 번갈아 칠하고, 물감이 마르면 나이프로 긁어내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했다. 그 과정이 끝나면 암갈색 물감으로 칠해 오랜 세월에 걸쳐 풍화된 듯한 느낌을 만들어 내는데, 이러한 기법은 화면에 깊이와 무게를 더하며 향토적이면서 고졸한 미감을 보여준다.

작가정보
박수근은 근대기 서민들의 삶의 요소를 작품에 반영해 그가 살아오며 몸소 경험한 것들을 자신의 화폭에 담아냈다. 
당시 화단에서 활약하던 화가들이 일본 유학을 했던 것과 달리 박수근은 여의찮은 상황으로 정규 미술 교육을 받지 못했고, 독학으로 독자적인 화풍을 만들었다. 그는 한국 전통 의상인 치마, 저고리를 입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평범한  모습을 주로 그렸다. 작가는 평생 서민들의 일상적 모습을 다양한 시각으로 형상화하고 연구했으며, 이를 통해 그의  회화에는 한국적 소박함의 보편적 정서가 담기게 됐다.

 

20221220  :  S  :  추정  KRW 1,000,000,000 ~ 1,500,000,000 

                              HP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