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943

박래현(1920~1976)-노점-1956년-종이에 수묵담채-267 * 210cm 2020-04-07 17:57:41 소장처 국립현대 미술관 2022. 11. 24.
박래현(1920~1976)-영광-1967년-종이 채색-134*168cm 2020-04-07 17:53:00 소장처 국립현대 미술관 2022. 11. 24.
이봉상(1916~1970)-산-1958년-105*106cm-캔버스 유채 2020-04-07 17:40:27 2022. 11. 24.
이인성(1912~1950)-카이유-1932년-종이에 수채-72.5 * 53.5cm 2020-04-07 17:30:08 2022. 11. 24.
김세호(1938~ )-장지에 채색-162*131cm 2020-04-07 17:21:49 2022. 11. 24.
류경채(1920~1995)-상락(相落)-1956년-캔버스 유채-96*130cm 2020-04-07 17:16:45 2022. 11. 24.
이마동 [1906~1981]-고궁 - 1968 - 캔버스에 유채-53.0×65.1cm 2020-04-07 16:36:06 충남 아산 출신으로 호는 청구(靑駒)이다. 휘문고등보통학교에서 한국 최초의 서양화가 고희동에게 그림 지도를 받았고 도쿄미술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하였다. 조선미술전람회에서 1회의 특선과 3회의 입선을 수상하였으며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초대작가, 심사위원, 운영위원 등을 지냈다. 목우회 회장과 한국미술협회 이사장, 홍익대 미대 교수를 역임하였다. 서울시문화상, 국민훈장모란장, 문화훈장 동백장 등을 수상하였다. 2022. 11. 24.
박항섭 [1923-1979]-포도원의 하루 - 1955년-캔버스에 유채 - 126.5×188㎝ 2020-04-07 16:32:07 [1955년 제4회『대한민국미술전람회』특선작] 황해도 장연에서 출생하여 병약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해주고등보통학교 3학년 때 조선일보 중등미술전에 수채화를 출품하여 입선하였다. 1943년 일본 도쿄의 가와바타미술학교(川端畵學校)를 졸업하였고, 해주미술학교 교사로 있다가 한국전쟁 당시 가족을 남겨둔 채 부인과 남하하였다. 1953년 제2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입선하였으며, 1955년에는 포도원의 하루로 특선을 수상하였다. 이후 국전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으로 참여하였고, 중앙미술대전, 동아미술대전 등의 심사위원으로도 활동하였다. 앙포르멜 경향이 강하던 화단에서 창작미술가협회, 신상회, 구상전 등에 참가하여 아카데믹한 구상화를 고수하면서 대상을 해체하여 재구성하는 추상성.. 2022. 11. 24.
김종하(1918 - 2011)-샤르트르 대성당이 보이는 마을집들-1988-캔버스에 유채-27.3×34.8cm (5호) 2020-04-06 21:02:21 2022. 11. 24.
샘 프란시스(1923 - 1994 American)-Meteorite (Gemini 1297)-1986년-182.9×106.1cm 2020-04-04 11:12:14 2022. 11. 24.
지용호(b.1978)-2016년-스테인리스, 타이어-380×150×150(h)cm 2020-04-04 00:31:53 2022. 11. 24.
최영걸(b.1968)-설악-여름 II-2006년-종이에 수묵담채-80×121cm 2020-04-04 00:30:09 2022. 1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