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황조각 한 쌍 鳳凰彫刻 一雙(Pair of Phoenixs Figure)-Gold, carved and colored on wood, mixed media on wood
2020-04-15 12:39:24 1. 71.2☓72.0☓17.7(h)cm 2. 71.8☓81.5☓18.0(h)cm 화려한 채색이 돋보이는 이 봉황은 불상을 모시는 불단 위 닫집을 장식하던 조각이다. 존귀한 존재를 장엄할 목적의 닫집은 연꽃, 오색구름, 용, 봉황 등 정교하고 화려한 장식으로 꾸며 상서로운 불국정토의 세계를 표현하고자 했다.목제로 조각된 한 쌍의 봉황은 얼굴, 몸통, 다리, 날개 등을 따로 제작해 끼워 맞췄다. 하늘을 유영하듯 날아오르는 형태의 묘사를 위해 쫙 펼친 날개와 꼬리의 깃털 하나하나, 길게 뻗은 다리와 오므린발톱까지 세밀하게 조각됐다. 같은 쌍 안에서도 두 마리는 서로 다르게 채색됐는데, 한 마리는 몸체에 붉은 점박이 찍혀 있고 검은 꼬리를 지녔으며, 날개는 녹색과 검은색의 ..
2022. 11. 25.
묘법연화경 妙法蓮華經(The Lotus Sutra)-Gold powder and woodcut printed on paper -12.7☓34.5cm GoRyeo Period
2020-04-14 22:47:56 LITERATURE 서로모아 부처님께 합장(동국대학교박물관, 2016), p.15, pl.10. 작품설명 이 『묘법연화경』은 감지 바탕에 연화형蓮花形 경패經牌와 바탕의 보상화문寶相華文을 금金·은銀으로 그린 표지와,백지白紙에 금金으로 그린 변상도 그리고 인출본印出本인 본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변상도는 화면의 중앙에 정면을 향한 본존이 자리하고 그 주위로 문수文殊, 보현보살普賢菩薩, 사리불舍利弗, 아도세왕阿闍世王, 일궁천자日宮天子, 제석帝釋, 아수라阿修羅, 가루라왕迦樓羅王, 긴나라왕緊那羅王, 건달파왕乾逹波王, 용왕龍王, 천왕天王 등 청문중들을 표현하였다. 이와 같은 도상은 중국 송대宋代의 소자본小字本 『법화경』 권수卷首판화의 영향에서 비롯되었는데, 과도보효회鍋島報效會의 1..
2022. 1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