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술/한국 고미술401 현재 심사정(沈師正 : 1707~1769) : 산수도(山水圖) : Landscape ink and color on paper : 37.0☓25.9cm 2020-12-13 13:11:45 조부의 영향으로 관직에 나아가지 못해 그림으로 여기를 달랬던 현재 심사정은 특히 산수화에 있어 남종화와 북종화를 섭렵해 자기만의 화풍을 향해 나아갔던 인물이다. 표암 강세황이 남긴 화평에 따르면현재가 화훼나 초충을 잘 그렸지만 산수에 가장 공을 많이 들였다 한다. 때문에 그의 산수는 현재 심사정의 정신세계를 드러내는 장르이면서 그림에 대한 그의 진지한 열의를 엿볼 수 있다.현재는 당시 유행했던 『고씨화보』와 『개자원화전』을 보고 그림을 배웠다 한다. 그래서인지 그의 산수도에는 중국 화보의 영향을 받은 요소들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출품작을 자세히 살펴보면 전경에 보이는 커다란 마른 나무는 『개자원화전』의 ‘하규잡수법’의 영향을 짐작케 하며 원경의 토산은 황공망.. 2022. 12. 2. 기원패 2점( 祈願牌 二點 ) : Praying Tablets gold powder, carved and colored on wood : 1. 42.0☓13.0☓61.2(h)cm (1648) : 2. 34.0☓9.5☓51.0(h)cm 2020-12-13 13:08:04 2022. 12. 2. 분청사기상감모란귀갑문화분 粉靑沙器象嵌牧丹龜甲文花盆 : Inlaid Buncheong Flowerpot : 24.7☓19.5(h)cm : JoSeon Period 2020-12-08 17:41:16 커다란 모란문이 돋보이는 원통형의 분청화분이다. 특히 화분은 전하는 예가 많지 않으며그나마도 청자로 일부 전해지는데, 출품작은 분청으로 제작된 화분임에 더 눈여겨봄 직하다. 지름이 25센치에 달하는 큰 크기로, 전의 끝부분을 한번 말아 올려 살짝 단이 지게 표현했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갖췄다. 바닥에는 구멍을 뚫어 놓아 물이 빠질 수있게 하는 등 화분의 기능적인 부분도 확인할 수 있다. 전 아래로는 뇌문대와 선문대를 상감하고 몸체 중앙에는 총 4칸으로 구획을 나눈 뒤 각각 모란문과 귀갑문으로 장식했다. 빼곡하게 귀갑문을 채워 넣은 것에 반해 모란은 면상감으로 큼지막하게 표현하고 주변은 여백을 두는 등 문양대의 구획이나 구성에 있어 신경을 써서 제작했음을 알 .. 2022. 12. 2. 청자상감국화문합 靑磁象嵌菊花文盒 : Inlaid Celadon Covered Box : 10.5☓8.7(h)cm : GoRyeo Period 2020-12-08 17:39:39 뚜껑과 몸체 가득 화문이 장식된 소담한 크기의 청자합이다. 꽃잎 네 장의 화문이 공간을구획하고 사이사이에 문양이 시문됐으며, 중앙에 자리한 국화문양이 위 아래에도 반복적으로 장식됐다. 주문양 위 아래로 한 줄 선을 돌려 위에는 뇌문과 어자문을, 아래에는 연꽃잎 장식했다. 게다가 연꽃 표현은 문양을 제외한 여백을 백토로 면상감 처리해 장식성을높혔다. 기벽에 띠처럼 펼쳐진 문양을 둥근 뚜껑에도 동일하게 담아 내기 위해 아랫쪽 꽃잎은 크기를 줄여 시문했다. 묘사한 바와 같이 출품작은 전체적으로 도안에 공을 많이 들이고 흑상감과 백상감을 적절히 조화시켜 회화성과 조형성을 겸비했다.기형의 크기가 소형이며, 흑백상감의 기술적 완성도가 높고, 유약의 투명도가 높은 점, 규석받침으로.. 2022. 12. 2. 백자청화해태형연적 白磁靑畵獬豸形硯滴 :Blue & White Porcelain Water-Dropper : 12.0☓5.6☓6.3(h)cm : JoSeon Period 2020-12-08 17:37:35 2022. 12. 2. 사수도 8점 : 四獸圖 八點 一括 : Paintings of Four Deitiesink and color on paper : 1. 27.1☓35.7cm (3pcs)25.2☓29.6cm : 2. 20.3☓26.4cm (4pcs) 2020-12-08 17:33:41 출품작은 청룡, 백호, 주작, 현무로 이루어진 사수도 일괄이다. 산릉도감에서 제작했으며본 의식에 사용하던 것 외 별도로 제작한 작품으로 추정된다. 산릉도감은 왕이나 왕비가승하한 이후 능침陵寢 조성을 위해 조성되었던 임시기구로, 이 때 본 의식을 진행하게 되었던 경위나 내용을 작성한 의궤를 함께 제작했다. 현전하는 산릉도감의궤에는 이 사수도가함께 실려있어 해당 의식 때 어떤 그림을 사용했는지 알려준다.사수도는 조선시대 국가 장례에서 빈전을 설치하는 의식을 진행하면서 찬궁欑宮 내부에붙였다. 찬궁은 왕과 왕비의 관을 임시로 안치하기 위해 집모양처럼 제작한 것으로, 동쪽벽에 청룡, 서쪽 벽에는 백호, 남쪽 벽에는 주작, 북쪽 벽에는 현무를 각각 붙여 왕과 왕비의 시신이 보호와.. 2022. 12. 2. 기원패 : 祈願牌 : Praying Tablet : gold powder, carved and colored on wood : 57.5☓39.5☓67.0(h)cm 2020-12-08 17:31:18 2022. 12. 2. 겸재 정선(謙齋 鄭敾, 1676 - 1759)해주허정도 海州許亭圖 : 종이에 수묵담채90×57.5cm 2020-11-22 20:22:51 2022. 12. 1. 청자음각모란문반구병 靑磁陰刻牡丹文盤口甁 : 12세기 : 10.7×19.5(h)cm 2020-11-18 00:00:44 2022. 12. 1. 백자청화운룡문호 白磁靑畵雲龍文壺 : 18세기 : 28×35.5(h)cm 2020-11-17 23:58:49 2022. 12. 1. 분청사기상감포류수금문매병 粉靑沙器象嵌蒲柳水禽文梅甁 : 15세기17.5×31.5(h)cm 2020-11-17 23:56:44 2022. 12. 1. 청자상감연당초문완 靑磁象嵌蓮唐草文碗Inlaid Celadon Bowl - 16.7☓7.8(h)cm 2020-10-12 21:39:57 2022. 11. 30.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