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미술/한국 고미술401

단원 김홍도, 고송유수관 이인문(金弘道, 李寅文) : 송석원시사야연도 松石園詩社夜宴圖, 송석원시회도 松石園詩會圖 : ink and color on paper : 31.8☓25.5cm (each) : 1791 2021-10-15 21:00:46 송석원시사 멤버 9명이 벌인 시회도의 하나로 달밤의 모임을 더없이 그윽하게 잡아냈다. 필치로 보아 이 모임으로 부터 5~6년쯤 뒤인 단원 50대 중반 그림인 듯 하다. 송석원시사 멤버 9명이 한낮에 벌인 시회도 그림으로 인왕산 자락에 비껴 보이는 북악의 모습에서 실경을 더욱 감지하게 된다. 이인문의 그림은 항시 이처럼 넓게 펼쳐지는 시원스런 구도를 취하고 있다. LITERATURE 미술 속 도시 도시 속 미술(국립중앙박물관, 2016), pp.144-145, pl.58-59.유홍준, 화인열전 2(역사비평사, 2001), p.256, pl.35. 진준현, 단원 김홍도 연구(일지사, 1999), p.128, pl.12. 韓國의 美 21 檀園 金弘道(中央日報社, 1979),.. 2022. 12. 13.
석연 양기훈 : 백매도 : 종이에 수묵채색 : 124 x 274cm : 6폭 : 1926년 2021-10-10 18:41:29 2022. 12. 13.
해강 김규진 : 묵죽도 : 천에 수묵 : 128 x 370cm : 10폭 : 1924 2021-10-10 18:38:48 2022. 12. 13.
이인상, ‘검선도(劒僊圖·18세기 중반)’, 종이에 담채. 96.7×61.8㎝,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소나무 연리목에 담은 차별없는 세상의 꿈 2021-10-09 00:00:55 https://www.chosun.com/opinion/specialist_column/2021/10/08/62S3LF3TXZFGRASIJ4FWP3V2XA/ [박상진의 우리그림 속 나무 읽기] [29·끝] 소나무 연리목에 담은 차별없는 세상의 꿈 박상진의 우리그림 속 나무 읽기 29·끝 소나무 연리목에 담은 차별없는 세상의 꿈 www.chosun.com 이인상, ‘검선도(劒僊圖·18세기 중반)’, 종이에 담채. 96.7×61.8㎝,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힘차게 뻗은 소나무와 줄기를 타고 올라간 덩굴나무가 우선 눈에 들어온다. 정면을 응시하고 앉아있는 선비의 뒤로 비스듬히 누운 또 한 그루의 소나무가 함께 화면을 구성한다. 서얼(庶孼) 출신 문인화가 이인상(1710~176.. 2022. 12. 13.
정선, ‘임천고암(林川鼓巖·1744~46년경)’, 종이에 수묵, 80×48.9㎝, 간송미술관 소장........겸재 정선 산수화 속 부여 백마강의 절경 2021-10-01 03:25:34 https://www.chosun.com/opinion/specialist_column/2021/10/01/GSUEEMWKA5HTBOBAJS3OTZJX5Q/ [박상진의 우리그림 속 나무 읽기] [28] 겸재 정선 산수화 속 부여 백마강의 절경 박상진의 우리그림 속 나무 읽기 28 겸재 정선 산수화 속 부여 백마강의 절경 www.chosun.com 정선, ‘임천고암(林川鼓巖·1744~46년경)’, 종이에 수묵, 80×48.9㎝, 간송미술관 소장. 18세기 중엽 어느 날 양천 현령 겸재 정선은 멀리 부여 땅을 찾는다. 오늘날 세도면 반조원리에 은거하는 조카뻘 선비 정오규를 만나기 위해서다. 백마강을 낀 은거지 주변의 빼어난 경치에 반한 그는 붓을 들어 ‘임천고암(林川鼓巖).. 2022. 12. 13.
신윤복 ‘무녀신무(巫女神舞·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종이에 채색, 28.2x35.6㎝, 간송미술관 소장........자두나무 집 재앙, 썩 물렀거라! 2021-09-24 09:31:46 https://www.chosun.com/opinion/specialist_column/2021/09/24/7TSGXUDHQNEI7DTLUJKIF4VMPI/ [박상진의 우리그림 속 나무 읽기] [27] 자두나무 집 재앙, 썩 물렀거라! 박상진의 우리그림 속 나무 읽기 27 자두나무 집 재앙, 썩 물렀거라 www.chosun.com 신윤복 ‘무녀신무(巫女神舞·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종이에 채색, 28.2x35.6㎝, 간송미술관 소장 무당이 신들린 춤을 추고 있는 무녀신무(巫女神舞)다. 장소는 여염집 마당, 널찍한 마루에는 제물을 차렸다. 초가지붕이지만 치밀하고 가지런하여 정성이 든 건물이다. 사각기둥에 서까래 일부도 각재(角材)를 썼다. 껍질만 벗긴 통나무를 .. 2022. 12. 13.
긍재 김득신(1754~1822) : 자위부과도(刺蝟負瓜圖) : 종이에 수묵담채 : 32 x 40.5cm : 1788 2021-09-18 08:24:59 2022. 12. 13.
정선 ‘경복궁(慶福宮·1754년경)’, 비단에 담채, 16.7x18.1㎝,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2021-09-10 16:55:10 https://www.chosun.com/opinion/specialist_column/2021/09/10/XUB2BSPYABF6XCOPNOOUPVHOL4/ [박상진의 우리그림 속 나무 읽기] [26] 궁궐 불탄 자리에 소나무 곧고 푸르러라 박상진의 우리그림 속 나무 읽기 26 궁궐 불탄 자리에 소나무 곧고 푸르러라 www.chosun.com 정선 ‘경복궁(慶福宮·1754년경)’, 비단에 담채, 16.7x18.1㎝,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임진왜란으로 불타버린 경복궁은 조선 말기 다시 지을 때까지 오랫동안 거의 폐허였다. 불타고 150여 년이 지난 영조 30년(1754)경 78세의 겸재 정선은 경회루 일대를 화폭에 담는다. 그림 위쪽 빽빽한 솔숲 앞에 보이는 돌기둥은 .. 2022. 12. 12.
강희언 ‘사인시음(士人詩吟·18세기 중엽)’, 종이에 담채, 28.2×35.6㎝, 개인 소장........학자수 회화나무 아래 선비들 시를 읊네 2021-09-03 09:51:25 https://www.chosun.com/opinion/specialist_column/2021/09/03/TAVQ75L2OJABPA5E65RMTNCJ5I/ [박상진의 우리그림 속 나무 읽기] [25] 학자수 회화나무 아래 선비들 시를 읊네 박상진의 우리그림 속 나무 읽기 25 학자수 회화나무 아래 선비들 시를 읊네 www.chosun.com 강희언 ‘사인시음(士人詩吟·18세기 중엽)’, 종이에 담채, 28.2×35.6㎝, 개인 소장. 선비 여섯이 큰 고목나무 아래 모여 있다. 생각나는 시를 쓰고 이를 바라보거나 엎드려 뭘 열심히 적고 있는 선비, 책 한 권을 펼쳐놓고 같이 훑어보는 두 선비, 선 채로 수염을 만지면서 생각을 가다듬는 선비 등이 화면을 구성한다. 어느 .. 2022. 12. 12.
정선, ‘인곡유거도(仁谷幽居圖·1755년경)’, 종이에 담채, 27.3㎝ x 27.5㎝, 간송미술관 소장........인왕산 계곡, 나무들 곁 아늑한 집 2021-08-27 20:34:30 https://www.chosun.com/opinion/specialist_column/2021/08/27/YOGZHZVBGBG2LFDKIY4AUALOFU/ [박상진의 우리그림 속 나무 읽기] [23] 인왕산 계곡, 나무들 곁 아늑한 집 박상진의 우리그림 속 나무 읽기 23 인왕산 계곡, 나무들 곁 아늑한 집 www.chosun.com 정선, ‘인곡유거도(仁谷幽居圖·1755년경)’, 종이에 담채, 27.3㎝ x 27.5㎝, 간송미술관 소장 조선 중기 산수화의 대가 겸재 정선(1676~1759)은 50대 초에서 여든네 살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30여 년 살던 집을 ‘인곡유거도(仁谷幽居圖)’로 그려두었다. ‘인왕산 계곡에 있는 아늑한 집’이란 뜻이다. 인왕산이 바로 건너다.. 2022. 12. 12.
심사정, ‘화조화(花鳥畵·1758년)’, 종이에 담채, 38.5x29.0㎝......개인소장산사 열매 익는 여름, 후투티 노래 들리는 듯 2021-08-20 09:24:17 https://www.chosun.com/opinion/specialist_column/2021/08/20/AV457CAUOFFE3MJIMAOOBXWWDI/ [박상진의 우리그림 속 나무 읽기] [23] 산사 열매 익는 여름, 후투티 노래 들리는 듯 박상진의 우리그림 속 나무 읽기 23 산사 열매 익는 여름, 후투티 노래 들리는 듯 www.chosun.com 심사정, ‘화조화(花鳥畵·1758년)’, 종이에 담채, 38.5x29.0㎝, 개인소장 조선 후기의 문인 화가 심사정은 산수화를 비롯한 다양한 장르의 많은 그림을 남겼다. 그의 나이 52세(1758년) 때 그린 화조화 속으로 들어가 본다. 잎사귀가 독특한 나무 한 그루와 점박이 열매, 그리고 머리 모양이 특별한 새 한.. 2022. 12. 12.
석파 이하응(李昰應 : 1820~1898) : 괴석묵란도(怪石墨蘭圖)Orchids on Oddly Shaped Rock : ink on silk : 31.2☓100.1cm (eight-panel screen)1893 2021-08-13 21:08:09 작품설명 癸巳春 書爲敬齋族叔學士蘭政法鑒指謬石坡老侄作계사년1893 봄 경재敬齋 족숙族叔 학사께석파 노질老侄, 나이 든 조카昔大院王 善畵蘭入妙境 然嘗不爲汗漫作 其遺墨 甚鮮矣 近稱王蘭帖者 每多贋本 有非平日薰炙得久者 難能辨別 見此屛聯畵意書法 乃爲王手墨 眞稀寶也 余以忝在甥館 故粗知之 玆識焉又樂 李允用옛날 대원왕大院王, 대원군께서 난초 그림을 잘 그려 오묘의 경지에 드셨다. 하지만 아무렇게나 함부로 그리지않으시어 전하는 작품이 아주 드물다. 근래 대원왕의 난첩蘭帖이라 일컬어지는 것들은 대부분 가품인데 평소 오랫동안 작품을 가까이서 지켜본 사람이 아니면 그 진위를 구분하기 어렵다. 이 병풍의 그림과 글씨를살펴보면 바로 대원왕의 손수 그린 작품으로, 실로 진귀한 보물이다. 내가 생질.. 2022. 1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