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술/한국 고미술401 도암 신학권(申學權 : 1785~1866) : 금강내산총도(金剛內山摠圖)Landscape of Mt.Geumgang : ink and color on paper 298.4☓58.3cm : 1854 2022-02-12 14:24:36 작품설명 금강산의 광활한 전경이 화폭에 펼쳐졌다. 장장 3m에 달하는 이 작품은 도암 신학권이 그려낸 로 우측의 우두봉牛頭峯을 시작으로 명경대明鏡臺, 묘길상妙吉祥, 보덕굴普德窟, 만폭동 萬瀑洞을 지나 좌측 끝에 정심대淨心臺에 이르러 끝을 맺으며, 해당 고적들의 지명이 상세히 적혀 있다. 우뚝 솟은 무수한 봉우리와 쏟아지는 물줄기, 굽이치는 언덕 사이사이 자리한 내금강의 명소들을 따라가다 보면 마치 이곳을 유람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도암 신학권은 19세기에 활동했던 문인화가이다. 당시 금강산은 진경산수의 주요 소재로 다뤄지며 많은 화가들이 화폭에 그 절경을 담아내고자했다. 특히 겸재 정선의 금강산도는 후대에까지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도암은 겸재의 그림을 모사함으.. 2022. 12. 16. 백자호 (白磁壺 : White Porcelain Jar) : 33.2☓31.0(h)cm : JoSeon Period 2022-02-12 14:17:04 작품설명 비교적 낮은 구연부를 시작으로 어깨에서 둔부까지 이어지는 풍만한 기형을 갖췄으며 굽은 구연부보다 약간 좁은 너비를 지닌 백자 항아리다. 전체적으로 보름달 형태에 몸통은 풍만하게 벌어져 있고 구연부는 직립에서 살짝 외반된 모습이다. 굽은 다리굽 형태로 바닥에 모래를 받치고 구웠다. 담청색의 백자 유약을 입혀 광택이 좋은 편이다. 제작과정에서 몸통의 상부와 하부를 별도로 만들어 접합하고 번조하는 과정에서 뒤틀어지거나 내려앉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 작품은 전체적인 조형성이 완연한 편이다. 감상하는 각도에 따라 살짝 한쪽이 살짝 기운 부분도 존재하지만 형태가 당당해 눈에 거스르지 않고 오히려 조선백자의 추상적인 조형미와 안분자족安分自足적인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2022. 12. 16. 주칠대모어피화접문탁자장 (朱漆玳瑁魚皮花蝶文卓子欌) : Lacquered Chesttortoiseshell and fishskin on wood, mixed media on wood : 50.8☓37.5☓103.3(h)cm 2022-02-12 13:59:27 작품설명 품격과 정교함으로 보아 궁중용으로 추정되는 고급 탁자장이다. 나무 위에 주칠을 하고 대모와 어피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해 궁중 여인들의 내실에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문판에는 어피로 제작한 모란과 난초가 있고, 그 사이사이에 새와 벌레 문양이 대칭을 이루며 균형 있게 배치됐다. 모란의 꽃잎은 붉은 색이 가미돼 주칠을 한 목재와 잘 어우러진다. 문판 뿐 아니라 수납공간을 둘러싸는 기둥과 운각에도 박쥐와 석류 등의 길상문으로 채웠다. 문양과 더불어 탁자장의 기둥 양 옆에는 귀貴자가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정면 중앙에는 효제충신孝悌忠信 네 글자가 대모로 꾸며져 가구의 격조를 높여준다. 양 옆널에도 꽃나무가 중앙에 크게 자리하고 있으며 그 밑으로 사슴 두 마리가 노.. 2022. 12. 16. 소정 변관식(卞寬植 : 1899~1976) : 수촌(水村) : Autumn Landscape : ink and color on paper : 344.2☓134.0cm (six-panel screen) : 1934 2022-02-12 13:53:47 LITERATURE 작품수록처소정 변관식(마로니에북스, 2019), pp.64-65, pl.2.소정, 길에서 무릉도원을 보다(컬처북스, 2006), p.28, pl.6. 작품설명 數里平沙接遠樹 千重喬木蔭柴門可人最是滄州晩 潮落依稀見水村甲戌 秋日 光山旅次 小亭몇 리 평사는 멀리 나무와 닿고, 천 겹 나무들은 사립문을 가렸다.가장 아름다운 건 창주滄州의 석양에, 조수 지며 아스라한 강 마을이다.갑술년1934 가을에 광산 객사에서 소정.광활한 산수경이 소정 변관식의 필세로 채워졌다. 1934년 광산 객사에서 그렸다 밝힌 이 작품은 소정의 나이 36세 광주에서 그린 것으로 그의 초기작 중에서도 대표적인 작품이다. 이 무렵의 소정은 일본 유학시절에 배운 신남화풍을 극복하고자 화단.. 2022. 12. 16. 최북 : 풍설야귀인도 (風雪夜歸人圖 : 18세기).....겨울 풍경화.....눈 덮인 세상 때론 황량하게 때론 정겹게 묘사했어요 2022-01-24 15:30:32 눈 덮인 세상 때론 황량하게 때론 정겹게 묘사했어요 [프리미엄][오디오 선생님] 눈 덮인 세상 때론 황량하게 때론 정겹게 묘사했어요 프리미엄오디오 선생님 눈 덮인 세상 때론 황량하게 때론 정겹게 묘사했어요 겨울 풍경화 www.chosun.com 올해 양력 1월 20일은 대한(大寒)이었어요. 우리 선조들은 태양이 1년간 한 바퀴 돌아가는 길을 스물네 마디로 나눴는데, 이를 24절기라고 부릅니다. 마지막인 스물네 번째 절기 대한은 ‘큰 추위’라는 뜻인데요. 사람들은 대한이 오면 겨울이 막바지에 이르렀으니 추위를 조금만 더 견디면 된다는 희망을 가졌대요. 과거에는 겨울나기가 지금보다 더 어려웠어요. 집이 없는 사람은 굶거나 얼어 죽기 일쑤였습니다. 맹추위가 기승을 부리는 밤.. 2022. 12. 16. 금동삼존불감(金銅三尊佛龕) : 금동 : 18cm : 11~12세기 2022-01-14 18:06:19 2022. 12. 16. 계미명금동삼존불입상(癸未銘 金銅三尊佛立像) : 금동 : 17.7cm : 563년 2022-01-14 18:01:05 2022. 12. 16. 오리모양 토기 한 쌍 : 가야시대 : 14.7 x 5 x 9 (2EA) 2021-12-16 12:24:38 좌 구연부 티및 꼬리일부 수리, 우 꼬리 일부 수리및 굽 제살 이음 2022. 12. 15. 백자철화운룡문호(白磁鐵畵雲龍文壺) : Iron-Decorated White Porcelain Jar : 35.0☓31.4(h)cm : JoSeon Period 2021-12-14 17:29:48 분방한 필치의 용 한 마리가 백자호의 동체를 휘감고 있다. 마치 앞에 있는 여의주를 향해 발을 뻗으려는 듯 자세가 역동적이다. 부리부리한 눈, 바짝 세운 발톱, 머리 위로 날리는 털 등은 용의 기세를 대변한다. 조선 전기 표현과 달리 종속문양대 없이 운룡만을 전면에 시문했으며, 특히 붓을 눕혀 툭툭 찍은 비늘의 표현이나 선묘로 빠르게 그린 구름 등에서는 대범한 회화성이 두드러져 17세기 철화백자의 특징을 그대로 담고 있다.기면 전반에는 회백색 유약이 고르게 녹아 광택이 좋으며 자연스런 농담의 철화 발색이 우수한 편이다.짧은 구연부와 굽은 풍만하고 넉넉한 기형을 더욱 돋보이게 만들어주고, 소성 과정에서 무게를 이기지못해 한쪽으로 주저 앉았으나 굽을 새로 받치지 않은 채 .. 2022. 12. 15. 긍재 김득신(金得臣 : 1754~1822) : 화조도(花鳥圖)Flowers & Birds ink and color on paper : 30.5☓34.3cm 2021-12-12 16:58:21 긍재 김득신은 복헌 김응환의 조카로 19세기 개성 김씨집안의 화맥을 이어간 인물이다. 화제의 내용처럼 바람에휘날리는 버드나무 가지에 꾀꼬리 두 마리가 앉아 있고,복숭아나무 꽃 사이로 날아드는 제비를 그려 따사로운 봄날의 정경을 잘 표현하였다. 그가 자로 쓴 주문방인 ‘현보賢輔’와 잎사귀 모양의 인장이 찍혀 있다. 2022. 12. 15. 심전 안중식(安中植 : 1861~1919) : 삼청지도(三淸之圖)Old Tree & Bamboo on Oddly Shaped Rock : ink and color on silk : Φ 49.5cm : 1917 2021-12-12 16:54:46 2022. 12. 15. 애춘 신명연(申命衍 : 1809~1886) : 초충도(草蟲圖)Flowers & Insects : ink and color on paper : Φ 57.8cm : 1866 2021-12-12 16:52:28 작품설명 丙寅立秋寫老圃小景 藹春 古人畫虎鵠 尚類狗與鶩 今看畫羽蟲 形意兩俱足 行者勢若去 飛者翻若逐 拒者如擧臂 鳴者如動腹 躍者趯其股 顧者注其目 乃知造化靈 未抵毫端速 梅聖兪觀居寧草虫詩 병인년1866 입추에 농가의 풍경 하나를 그리다. 애춘. 옛 사람이 호랑이와 고니를 그릴 때도, 개와 따오기를 닮았다 했다. 지금 초충도를 보니, 외형과 내함이 모두 충분하다. 걷는 건 앞으로 가는 듯하고, 나는 건 뒤쫓는 듯하고, 막는 건 팔을 드는 듯하고, 우는 건 배를 움직이는 듯하고, 뛰는 건 다리를 박차는 듯하고, 돌아보는 건 눈매가 남다르다. 여기서자연의 신령도, 붓끝의 영민함에 맞설 수 없음을 알겠다. 2022. 12. 15. 이전 1 ··· 4 5 6 7 8 9 10 ··· 34 다음